명분도 없는 수도를 사이하여 바라 뵈는
뭍에선 봄기운이 띠를 둘러 흐르는데
세월은 주저앉은 채 한 시름 푸는 중이다.
갈매기 두어 마리 무심 끝에 오르고
다만 손짓으로는 가릴 수 없는 햇살,
화안한 배추밭 하나 눈썹 위에 와 있다.
아무리 둘러봐야 드디어는 물새처럼
모가지 휘어지는 하얀 뒷덜미 설움
뭍으로 오르다 그만 지쳐 쉬는 바다여.
박재삼 '섬에서'
섬에서 주저앉은 채 한 시름 푸는 중인 세월을 읽는다.
참으로 여유로운 눈길이다.
눈썹 위에 와 있는 화안한 배추밭과 무심 끝에 오르는 갈매기 두어 마리…. 끝내는 물새처럼 모가지 휘어지는 하얀 뒷덜미 설움을 느끼며 지쳐 쉬는 바다에 말을 건넨다.
일찍이 미당(未堂)이 '네 발굽을 쳐 달려간 말은 바닷가에 가 멎어 버렸다'고 읊은 그 어쩌지 못할 한계의식을 언뜻 떠올리게 하는 작품이다.
박재삼은 그의 스승 김상옥과 더불어 특유의 가락과 그 누구도 좇을 수 없는 잘 조탁된 우리말로 빚은, 빼어난 시조와 시를 적잖이 남긴 시인이다.
이정환(시조시인)






 
         
    
    















 
                     
                     
                     
                     
                    












 
             
            









댓글 많은 뉴스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이재명의 승리" "역사적 업적"…관세협상 타결에 與 칭찬세례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
美와 말다르다? 대통령실 "팩트시트에 반도체 반영…문서 정리되면 논란 없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