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 부산지리연구소 고지도 연구팀(연구책임자 김기혁 교수)은 25일 전국 박물관 및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던 조선후기 대구·경북 24개 시군(조선시대 43개 군현) 고지도를 지역별로 정리한 8권의 보고서를 발간했다.
대구시 62종을 비롯 포항시 124종, 김천시 88종, 안동시 70종, 영주시 88종, 울릉도 22종 등 군현지도책, 지리지부도, 대축적전국지도, 주제도, 산수도 총 1천291종이 실려 있다.
지명까지 정리 분석되어 있어 조선후기 고지도 발달과정과 함께 지명 변천과정을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는 것이 특징.
고지도 연구팀은 18세기 제작된 울릉도 지도에 이미 독도(우산도)가 부속도서로 그려지고 19세기에 울릉도를 자세하게 그린 지도가 자주 제작된 것은 이 시기에 높아진 영토의식을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또 김정호가 1861년 대동여지도를 제작하기 100년 전 여러 종류의 방안식(方眼式) 군현지도들이 제작되었고 대동여지도 제작 20~30년 전 대축적 전국지도들이 필사본으로 만들어지면서 이루어진 지도 제작기술의 축적이 대동여지도 완성으로 나타났음을 확인했다.
좌표지도, 경위선 표식지도로도 불리는 방안지도(方眼地圖)는 일정한 거리의 방안 좌표 즉, 눈금을 만들고 지도의 모든 부분이 같은 비율이 되도록 한 지도를 말한다.
김기혁 교수는 "방안식 군현지도와 대축적전국지도에 뚜렷이 기재된 독도가 대동여지도에서 누락된 것은 판각하는 과정에서 목판에 맞추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세정기자 beacon@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이재명의 승리" "역사적 업적"…관세협상 타결에 與 칭찬세례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
美와 말다르다? 대통령실 "팩트시트에 반도체 반영…문서 정리되면 논란 없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