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12월이 되면 단골 금융기관에서 달력과 가계부를 두 권씩 얻어온다. 달력은 안방과 부엌에 걸어두고 계절을 느끼고 각종 행사를 가름한다. 가계부 한 권은 나처럼 기록에 소질이 있는 막내 동서에게 주고 한 권은 내가 사용한다. 결혼 33년, 32권의 가계부가 일기장과 함께 종이 박스에 담긴 채 이삿짐에 따라다닌다. 사실 가계부 쓰기는 학교 다닐 때 용돈기입장을 적으면서 시작된 셈이다. 이것이 습관화되어 우리 가족 개개인의 씀씀이를 다 계산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남편의 용돈(?)은 불투명하다.
가계부를 적음으로 1년간의 생활비를 얼마쯤인지 예측할 수가 있으니깐 미래에 대한 불안감은 적다. 물론 특별비 지출은 생기게 마련이니 가계부를 쓰면서 마음 준비, 돈 준비를 미리 한다면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가계부는 생활비 기록뿐만 아니라 각종 행사나 잊어버리기 쉬운 메모, 반찬 메뉴까지 한자리를 차지한다. 어떤 사람은 적자인 가계부를 적으니 속이 상해 안 적는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럴수록 적어야 하고 적다 보면 적자 가계부는 사라지게 된다. 가계부는 쓰는 이와 안 쓰는 이의 마음가짐이 다르다. 삶의 자세를 긍정적으로 가지고 새해에도 나의 가계부 쓰기는 계속될 것이다.
김정순(대구시 남구 대명9동)






























댓글 많은 뉴스
몸싸움·욕설로 아수라장된 5·18묘지…장동혁 상의까지 붙들렸다
광주 간 장동혁, 5·18 묘역 참배 불발…시민단체 반발에 겨우 묵념만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한강서 '군복 차림' 행진한 중국인 단체…"제식훈련도 아니고"
[단독] 고리2호기 재가동 118억원 손해? 악마 편집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