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자노트)경주시·한수원 지역간 갈등 해소 앞장서야

수개월 동안 경주를 둘로 갈라놓으며 주민 갈등을 증폭시켰던 한국수력원자력 본사 이전 문제가 29일 방폐장 인근 지역인 경주 양북면 장항리로 최종 결정됐다.

그동안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처분시설(방폐장) 유치에 따른 인센티브로 경주로 이전하게 될 한수원 본사 이전 문제로 양북·양남·감포 등 동경주와 도심권의 주민이 첨예하게 대립해 왔다. 각기 자신들이 요구하는 지역으로 이전해야 한다며 수차례 집회를 열어 기세싸움을 했고, 도로 봉쇄와 방화 등 과격시위와 천막농성을 벌이면서 경주는 두 동강이 나버렸다.

이 같은 원인은 무엇보다 '합의와 조정'을 이끌어 내지 못한 한수원과 경주시에 상당한 책임이 있다. 경주시민들의 위대한 승리라고 자랑했던 방폐장이 유치되고 1년이 지나도록 이 문제에 대해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해 당사자들을 상대로 지역 발전을 위해 협의를 이끌어 내기 위해 이해와 설득, 조정의 역할을 보다 적극적으로 했더라면 첨예한 갈등과 격렬 시위를 막을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

이제 한수원 본사 이전지는 결정이 됐다. 이 과정까지 문제도 있었지만 이제는 대승적 차원에서 승복해야 한다. 정부와 경주시, 한수원 등도 지역간 민-민간 갈등과 반목을 해소하고 상처를 치유하는 데 앞장서야 한다. 탈락지역에 대한 수습책도 내놓아야 한다.

특히 한수원은 '크게 환영받지 못하고 이전하게 됐다.'고 불평만 할 것이 아니다. 본사 이전 규모나 기능이 축소되지 않도록 해야 하고, 협력기업들의 동반 이전을 설득해 고용창출 등 경제적 파급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방폐장만 받아주면 모든 것을 다 해줄 듯했던 정부도 '초심'으로 돌아가 방폐장 유치 당시 약속했던 유치지역 지원사업 등에 보다 적극적인 자세와 지원을 해야 한다.이것만이 갈라진 민심을 치유해 경주시민 모두가 승자가 되는 일이요, 방폐장 유치의 참 뜻을 살리는 길이다.

사회2부 김진만기자 fact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