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훼손인가, 문화재 보호를 위한 최후의 수단인가.'
방재·안전전문가들은 수년 전부터 문화재에 첨단방재시스템을 도입하자고 줄기차게 제기하고 있다. 특히 국보1호 숭례문 화재사건을 계기로 이 같은 주장은 더 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문화재청을 비롯한 문화재 관리당국은 문화재 훼손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로 첨단장비 설치·도입에 부정적이다.
대구경북연구원 김기철·이동수 연구원은 11일 '대경CEO 브리핑'을 통해 "문화재를 근본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는 일본 중국처럼 불꽃·온도·연기감지기 등 유비쿼터스 기반의 유비쿼터스센스네트워크(USN)와 전자태그(RFID) 등을 설치, 조기경보 및 초동진압할 수 있도록 첨단방재시스템을 반드시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주시 경우 'U(유비쿼터스)-시티'마스터플랜을 마련하고 있지만 문화재 보고인 지역 특성 때문에 사업모델 발굴에 애를 먹고 있다. 이는 문화재 및 문화재 관련기관을 빼놓고서는 U-시티 계획의 핵심이 빠지는데다 문화재 관련기관에서도 센서를 통한 첨단방재시스템 설치에 부정적이기 때문.
이에 대해 두 연구원은 일본은 대표적인 유적도시인 고카와지(粉河寺)에 2001년부터 215개의 불꽃·연기·온도감지기를 설치 조기경보체계를 만들었고 고야산 미네지(峰寺)에는 건물 전체를 물로 우산을 만드는 '물우산', 땅속 노즐에서 분출된 수막으로 건물전체를 감싸는 물커튼 시스템, 조기경보시스템 등의 첨단방재시스템이 구축돼 있다는 것.
두 연구원은 "대구경북은 우리 나라 국보·보물 목조문화재의 27%를 차지할 정도로 문화재가 가장 많고 안전·방재시스템 분야에서 국내외를 선도하고 있는 기업들이 많은 만큼 어느 지역보다 앞서 첨단방재시스템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말했다.
이를 위해 두 연구원은 기술적·건축적 측면에서의 소방·방재장치 마련과 함께 법·제도적인 보완이 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춘수기자 zapper@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