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자전거가 국가 전략과제로 성공하려면

행정안전부가 어제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국가 전략과제'로 채택했다. 자전거 타기에 방해되는 각종 법제 정비, 자전거 이용도가 높은 지방에 대한 인센티브제 시행, 자전거 보험제도 신설 등등이 동원하려는 정책수단이다. 이를 위해 범정부 정책협의회를 구성하고 다음달까지 종합계획을 확정한다는 것이다.

고유가 만성화 조짐이 짙어지자 드디어 중앙정부가 자전거 이용 확대를 국가적 과제로 격상한 형세다. 청정 교통수단이자 건강증진 수단이라고 해서 진작부터 강조돼 온 게 자전거 타기이지만 이제 경제적 이유 때문에도 적극 권장할 수밖에 없게 된 것이다. 마침 그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는 시중에도 충분히 넓혀져 있으니 성공 가능성도 높아 보인다. 최근 포항 시민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의 91.5%가 시내 전지역 전용도로 개설을 바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전거 실제 활성화는 중앙정부 의지만으로 달성될 수 있는 게 아니다. 그쪽이 제도 부문 지원을 맡고 나섰으면 현장에선 지방정부가 실제 여건 개선으로 손뼉을 마주쳐줘야 소리가 날 수 있다는 얘기다. 물론 지방정부들 중에서도 서울'대전'창원시청 등 이 일에 더 앞서 온 경우도 있다. 하지만 대구 등 몇몇 도시의 지방정부에서는 사정이 전혀 다른 게 문제인 것이다.

경제 살리기도 중요하지만 자전거 이용 활성화 역시 시민들의 가계를 돕고 도시의 건강성까지 향상시키는 일임을 알아야 한다. 전용도로 확충 요구가 늘 묵살되는 건 물론이고 달리기 안전하게 불법주차라도 해소시켜 달라는 호소마저 소귀에 경 읽기인 현실을 이대로 두어서는 안 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