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親朴 25명 3개월만에 '집으로~'

한나라 일괄복당 최종 결론

4·9 총선 이후 3개월 이상 딴살림을 차렸던 25명의 친박 의원들이 드디어 친정집 한나라당에 모두 들어가게 됐다. 한지붕 두 가족의 어색한 동거가 끝난 셈이다.

한나라당은 10일 오전 국회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친박 의원 무조건 일괄 복당이라는 결론을 냈다. 박희태 대표는 회의 뒤 기자간담회를 갖고 "최고위에서 친박 의원들 전원을 무조건 일괄해서 다 받기로 결정했다"면서 "앞으로 이제 당에서 제발 계파 얘기가 안 나오는, 화합된 목소리를 내는 정당이 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그간 친박 의원들의 복당 문제가 험한 길을 걸어왔다"면서 "오늘 드디어 종착역에 도착했다"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불공정 공천 논란으로 촉발된 친박인사 복당 문제는 4·9총선 후 3개월 만에 일단락되게 됐다. 친박연대(13명), 친박 무소속연대(12명)가 전원 복당 절차를 밟고, 친여 성향의 순수 무소속 의원 5명까지 입당할 경우 한나라당 의석은 현재 153석에서 최대 183석까지 늘어나는 거대 여당이 될 전망이다.

박 대표는 검찰에 기소된 친박연대 서청원 대표와 양정례·김노식 의원의 복당 문제와 관련, "서 의원이든 누구든 아무 관계가 없다"면서 "누구든지 들어오라. 들어오면 우리 당헌·당규에 따라 처리하면 된다"고 말했다.

현행 당헌·당규는 검찰에 기소된 경우 당원권을 정지하고, 유죄 확정판결이 날 경우 출당, 제명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어 검찰에 기소된 이들 3명의 의원이 입당할 경우 당원권 정지와 윤리위원회 회부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그는 그러면서 "박근혜 전 대표측에서 계속 요구를 했고, 풀(full)로 받으면 된다"면서 "기소가 됐든 어떻든 간에 좌우간 들어오면 된다"고 덧붙였다.

원외 당협위원장들의 거취와 관련, 박 대표는 "당협위원장은 임기가 1년 보장돼 있고, 앞으로 시간이 남았다"며 "당협위원장들의 진로와 위상을 세워주기 위해 당에서 최대한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한나라당이 무조건 일괄복당을 허용함에 따라 친박 무소속연대 의원들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복당이 이뤄질 전망이다. 친박 무소속연대 의원들은 11일 기자회견을 갖고 복당을 공식화하기로 했다. 친박 무소속 김태환(구미을) 의원은 "무소속연대가 먼저 복당을 하자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며 "친박연대는 당 차원에서 복당 시기를 결정할 것으로 보고 우리부터 먼저 들어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