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핵연료 저장시설 과포화…주민들 안정성 우려

한국수력원자력㈜이 울진원전 내에 추진하고 있는 유리화 사업에 대한 울진주민들의 반발이 확산(본지 7월 2·15일 보도)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와 한수원이 영구저장시설은 물론 중간저장시설 건설 지연에 따른 발전소내 사용후 핵연료의 저장시설 용량 초과에 대비해 각 원전별 기존 저장시설 용량 확장과 호기 간 이송 계획을 세워놓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주민들이 방사선 안전성 등을 크게 우려하고 있다.

한수원은 22일 열린 울진원전민간환경감시위원회 임시회에서 "정부와 한수원이 울진원전 등 각 지역 원전마다 발전소내 사용후 핵연료 저장시설 용량이 포화상태에 이를 것에 대비, 2016년까지 기존 저장시설 용량을 늘리거나 인근 호기로 이송하는 안을 계획, 또는 이미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수원은 "울진원전 1, 2호기의 경우 핵연료 건물내 보관중인 사용후 핵연료가 올 하반기쯤 90% 이상 저장될 것에 대비, 2007년부터 3, 4호기의 저장시설 용량을 늘리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실제로 오는 8월부터 2호기에 보관하고 있는 핵연료의 상당량을 여유가 있는 3호기로 옮기는 작업을 시행할 계획"이라고 했다.

한수원 관계자는 "이 사업은 2004년 국가원자력위원회에서 의결한 사안으로 이미 작년에 이송에 필요한 저장용기의 제작 및 인수를 마쳤고 올해 들어 시운전 및 모의 운반까지도 시행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울진원전 민간환경감시위원회 위원들은 "안정된 상태에 있던 수조를 확장하거나 연료를 추가 저장하게 되면 잔열 발생에 따른 저장조 냉각능력에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도 있고, 호기 간 이송과정에서도 방사선 누출 등의 위험이 우려된다"면서 "중저준위 유리화 사업에 대해서도 우려를 나타내는 주민들이 사용후 핵연료 운송을 수용할지 걱정"이라고 했다.

울진·황이주기자 ijhwang@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