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쌀 직불금 수령 자진신고 사흘째인 23일 대구시·구·군에는 400명의 공무원이 신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도에는 도 본청 60명, 23개 시·군 627명 등 687명이 신고하는 등 신고행렬이 줄을 잇고 있다.
특히 달성군에선 22일 하루 만에 100여명의 직원들이 자진신고를 하면서 아예 업무가 마비되는 등 큰 혼란을 겪었다.
대구시와 구·군에 따르면 23일 오전 9시 현재까지 공무원과 직계가족의 쌀 직불금 수령 신고는 모두 400건으로 집계됐다. 시청공무원은 45명이었으며, 소방본부 56명, 상수도본부 24명, 공사·공단 등 30명, 8개 구·군청 공무원 245명이 신고했다. 구·군별로는 도농복합지역인 달성군이 109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달서구 33명, 동구 27명, 북구 21명, 서구 19명, 수성구 15명, 남구 12명, 중구 9명 등의 순이었다. 이 중 5급 이상 간부급 공무원도 15명이 포함돼 있다.
달성군 감사계 관계자는 "달성군청 공무원의 경우 달성군 출신이 다수를 차지하다 보니 당연히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많은 것으로 파악된다"고 설명했다. 공무원 본인이 직접 작은 규모의 땅을 경작하는 경우도 많았고, 배우자나 직계 존비속이 직접 농사를 지으며 직불금을 수령한 사례가 많았다.
경북도의 경우 예천 110명, 칠곡 78명, 안동 70명 등으로 나타났지만 농사와 관련된 공무원이 많아 신고건수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대구시와 경북도는 행정안전부 지시에 따라 당초 22일까지였던 신고기간을 27일로 연장했다. 하지만 감사부서 관계자들은 상당수 공무원들이 이미 신고를 마친 것으로 보고 있으며, 앞으로 신고 인원이 크게 증가하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대구시와 경북도, 시·군에는 본인이 신고 대상인지를 확인하는 문의전화까지 쇄도하면서 일대 혼란이 빚어지고 있다. 달성군 관계자는 "신고할 때는 신고서·소명서와 함께 직접 농사를 짓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할 만한 비료 등 농자재 구입서류나 인근 농민 3명 이상의 확인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윤조기자 cgdrea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