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택시업계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대구 택시회사들이 아우성이다. 연료비'임금 부담이 수입액의 90% 수준까지 치솟아 회사들이 적자 상태에 빠졌다는 것이다. 전체 100개 회사 중 5개의 소유권이 올해 바뀌었고 7개가 매물로 나와 있다는 얘기가 들린다. 채산성 악화로 회사(법인) 택시의 40%가 운행을 중단했다는 말도 있다. 그래서 업계가 요구하는 것은 정부 지원이라고 했다.

택시업계 위기가 그렇게 심각하다면 어쨌든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대구만 해도 1만여 명의 고용을 담당하는 등 사회적 역할이 적잖은 업종이기 때문이다. 또 업계 요구 중에는 정부가 앞장서 받아들일 필요가 있는 것도 존재할 수 있다. ▷택시요금에 붙는 부가세를 면제하라 ▷택시가 너무 많아 문제가 생기니 시청이 일부를 사들여 폐지해 전체 대수를 줄여달라 ▷택시도 시내버스 같은 지원 대상에 포함시켜 달라 등등은 검토할 만한 대상이 아닌가 싶다.

그러나 정부 지원에는 어차피 한계가 있는 만큼 그것에만 매달리는 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길이 못 된다. 택시업계 또한 스스로 변모하고 자생력을 키워가야 한다. 업계가 가장 쉽게 내세우는 요금인상만 해도 그렇다. 그 폭이 지나쳐 오히려 승객 감소와 운전기사 수입 감소를 초래한다면 그건 업계에도 독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안 그래도 지난 3년간 승객이 30%나 줄었다고 발을 구르는 게 바로 택시업계 자신들이지 않은가.

대구시청이 이미 요금 인상 등 대책을 강구 중이라 한다. 이 참에 택시제도 자체를 종합적으로 재검토할 필요도 있지 않을까 싶다. 지원책을 구사할 경우 그 효과가 종사자와 이용시민에까지 고루 돌아가도록 하는, 보다 멀리 보는 대책이 필요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