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형 공공공사, 지역업체엔 '남의 떡'

대구경북에서 발주되는 대형 공공부문 공사가 잇따르고 있지만 역외 대형 건설사들만의 '잔치'가 되고 있다.

경기 침체로 민간공사가 줄면서 대형 건설사들이 공공 건설사업 수주에 경쟁적으로 뛰어들고 있는 데다 대형공사(229억원 이상)는 제도적으로 지역업체 공동도급 의무가 없어 지역발주 공사의 '외지 업체 수주 편향'이 두드러지고 있는 것.

지역 건설사들은 "지난해 이후부터 대형 공공사업이 늘고 있지만 정작 지역업체 참여는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있다"며 "정부나 시도 차원의 정책적인 배려가 절실하다"고 밝혔다.

지난달 한국철도시설공단이 발주한 '울산~포항 철도공사'의 경우 공사규모가 12개 공구에 약 2조원에 이르지만 낙찰된 1군업체가 경북지역 업체를 1개사도 참여시키지 않았다. 다만 후순위 업체들만 '들러리' 형식으로 경북 건설사를 참여시켰을 뿐이다.

이 공사는 최저가 낙찰률이 77%로 통상 낙찰률 70%를 상회하고 있어 참여한 대형 건설사들의 담합의혹까지 제기되고 있다.

조달청이 최근 발주한 900억원 규모의 달서구 대곡동 정부종합청사 건설공사와 지난해 말 한국토지공사가 발주한 700억원 규모의 달성군 테크노폴리스 3, 4공구 공사 역시 대구업체들이 전혀 참여하지 못했다.

특히 한국도로공사가 발주해 이달 말에 입찰 예정인 2조원대의 '울산~포항 고속국도건설공사' 역시 대형 건설사를 제외한 지역업체들의 지분 참여가 사실상 힘들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지역건설사들은 "예년에는 대형 건설사들이 지역업체와 최소 10% 수준에서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게 관례였으나 올 들어 분위기가 확 달라졌다"며 "대형 공사일수록 지역업체를 배제한 대형 1군업체들끼리의 컨소시엄 경향이 강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지역 건설사들은 발주처인 정부 기관들의 '지역업체' 배려 의지가 부족한 때문이라며 적극적인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대한건설협회 대구시회 및 경상북도회 관계자들은 "제도적으로 대형 공사에 있어 지역업체 참여를 보장할 수는 없지만 발주처의 의지만 있다면 지역업체들의 지분 참여는 충분히 가능하다"며 "최근 두드러지는 대형건설사 수주 독식현상은 정부 차원의 지역 경기 활성화에도 역행하는 처사"라고 주장했다.

실제 지역 업체 참여를 정책적으로 유도하고 있는 대구시 발주 공사의 경우 지역업체들이 도시철도 3호선 등 50~60% 이상 지분 참여를 하고 있지만 정부 산하기관 발주공사는 지역업체 수주율이 20~30% 수준에 머물고 있어 대조를 보이고 있다.

이홍섭·이춘수·이재협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