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지역 음식쓰레기 처리, 모레가 시한

대구 12개 업체 "더 이상 물량 못받아"

음식물쓰레기 음폐수(음식물쓰레기폐수) 처리업체의 해양투기 중단이 12일째를 맞으면서 대구지역 음식물쓰레기 민간처리업체의 조업중단이 잇따르고 있다.

대구지역 12개 민간처리업체들 중 3곳이 이미 음폐수 보관시설의 포화로 음식물쓰레기 반입을 중단한 가운데 16일 2개 업체가 음식물쓰레기를 받지 못했다. 나머지 업체들도 여유공간 부족으로 18일쯤 반입이 중단될 상황이다. 이 상태가 계속되면 이번 주말쯤 음식물쓰레기 대란을 빚을 가능성이 높다.

한국음식물폐기물 자원화협회 영남권협의회 최성근 회장은 "저장 탱크가 한계에 도달해 처리업체 대부분이 더 이상 물량을 받을 수 없을 정도"라며 "일부 업체들은 장기보관에 따른 가스, 악취 발생에 시달리고 있고 지하 저장탱크 균열 조짐까지 보이는 곳도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따라 대구시는 신천하수병합처리장의 처리시설을 풀가동해 하루 300t가량을 처리하고 있고 16일부터는 소각장(50t)에서도 처리를 시작하는 등 공공처리시설 물량을 늘리고 있다. 시 관계자는 "소각장에서 하루 150t가량 처리할 수 있고 이마저도 힘들어질 경우 달서천 하수처리장 내 2천t의 음식물쓰레기를 저장할 수 있는 저류조를 활용할 계획"이라고 16일 밝혔다.

음식물쓰레기 대란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대구의 한 구(區) 경우 요즘 하루에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이 145t으로 지난달 131t에 비해 한달 새 10여t이 늘어나는 등 대구 전체 음식물쓰레기배출량은 오히려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여름이 다가오면서 수박, 참외 등 수분과 부피가 큰 과일류 소비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또 대구지역 음식물쓰레기의 60% 가까이를 처리하는 신천하수병합처리장의 처리시설이 과부하로 고장날 경우 처리 자체가 중단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대구시환경시설공단 관계자는 "평소 200t 이하를 처리하던 시설을 풀가동하다 보니 과부하로 인한 마모와 고장이 우려되고 있다"며 "예비시설이 없다 보니 문제가 발생하면 수리에 많은 시간이 걸려 음식물쓰레기 처리 자체가 불가능해진다"고 걱정했다.

하지만 정부와 전국 해양투기 업체들의 협상은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국토해양부와 환경부, 규제개혁위원회 등과 해양투기업체들은 11일 함수율 규제와 관련 협상을 벌이기로 했으나 만남 자체가 결렬됐고, 이달 말쯤 다시 만남을 갖기로 한 상태다. 민간처리업체들은 "93%의 함수율을 맞추려면 수억원의 추가 시설투자를 해야하는 데다 가수(물을 넣어 희석시키는 것)나 약품처리도 하지 못해 정부가 정한 함수율을 맞추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함수율을 85%로 낮춰달라'는 의견서를 관계기관에 제출했다.

최두성기자 dschoi@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