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마음 깊은 깊이에
새 한 마리가 살고 있다.
울지도 못하고 노래도 못 하는
눈멀고 말라비튼 귀머거리
새 한 마리가 살고 있다.
눈보라 흩날리고
얼어붙은 내 마음 허허벌판에
날지도 못하고 걷지도 못하는
기막힌 새 한 마리,
새 한 마리의 캄캄한 마음이 살고 있다.
강물 풀리고 새 아침이 밝아올 때
단 한 번 울고 오래오래 노래할,
눈뜨고 귀가 트이는 그 시각을 위해
나의 새는 뼛물 말리며
웅크리고만 있다.
가혹한 비상의 꿈을 꾸며
새 하늘을 그리고 있다
시인의 마음 속에 새가 있다. 마음 깊이 있으니 아무도 보지 못하는 새이고 새 역시 아직 아무도 볼 수 없는, 날지도 걷지도 노래하지도 못한다. 불통과 불화의 새이다. 그 속에 언제부터 웅크린 새가 있었던가. 그 새가 언제 울고 노래하며 날아갈 수 있을까 라는 두 가지 마음의 초점이 생긴다. 이 추상성의 새에 비평적 수사가 필요하진 않다. 다만 시인의 마음 깊이 자리 잡은 이 새가 흑백 모노크롬 같은 순간을 맞이할 것이라는 믿음이다.
(시인)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