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시민기자]지하철 역번호 세 자릿수는 무슨 의미?

노선번호+역번호…반월당이 기준역

"지하철역 안내표지판 아래 적혀 있는 역번호 세자리 숫자의 의미를 아세요?"

지하철 역번호를 알면 1·2호 노선 모든 역의 위치는 물론 승차역에서 하차역의 도착시간도 계산할 수 있어 편리하다고 한다.

대구 지하철은 1호선 30개역과 2호선 26개역으로 구성돼 있는데 각 노선 역마다 세자리 숫자의 고유번호가 있다. 백의 자리 숫자는 노선번호고, 십의 자리와 일의 자리 숫자는 역의 번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126이면 1호선 현충로역, 234이면 2호선 수성구청역이다. 1·2호선의 기준역은 환승역인 반월당을 기준으로 부여하고 있다. 1호선 반월당역 번호는 130번, 2호선 반월당역은 230번이다.

지하철 역번호를 알아두면 목적지 도착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2호선 사월역(241)에서 출발해 반월당역(230)에 도착 예정이라면 역번호를 이용해(241-230=11×2분=22분) 도착시간을 가늠할 수 있다. 역당 소요시간은 2분 내지 2분 30초로 계산하면 된다.

지하철 역번호는 우리말과 글이 서툰 외국인들에게도 길라잡이가 되고 있다. 외국인들은 지하철을 이용해 목적지로 갈 때 역번호로 주로 문의하고 역 창구에서도 역번호로 안내하면 의사전달이 쉽다고 한다.

역번호는 또 전기·통신·신호·기계 등 시설물로 구성된 지하철 구조상 각종 이상이 발생했을 때 신속한 조치를 취하기 위한 중요한 기준점이 된다. 예를 들어 118-1 이상발생이라면 1호선 진천역 1구간에 이상이 발생했다는 의미이므로 신속 출동, 점검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것이다.

대구도시철도공사 홍보부 김제봉 부장은 "환승역을 중심으로 하행방면으로 번호의 여유를 둔 것은 향후 지하철 노선 연장이나 연결 등을 염두에 두고 부여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글·사진 권오섭시민기자 imnewsmbc1@korea.com

도움:김동석기자 dotory125@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