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ICT가 제주 가파도를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는 섬으로 만드는 데 앞장서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가파도를 탄소가 없는 청정섬으로 낙점하고 대용량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을 적용, 풍력과 태양광 발전기를 통해 나오는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독립전력망(마이크로 그리드) 구축사업에 주력해왔다. 하지만 기존 적용된 ESS와 신재생 에너지원과의 상호 연계운전에 어려움이 있어 최적화된 효율을 끌어내지 못했다. 신재생에너지는 기상상황에 따라 출력전력이 불안정해 ESS를 통해 생산전력을 보관했다가 공급하는 안정화 기술이 필수적이다. 제주도는 이 같은 기술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포스코ICT가 가진 대용량(2㎿) ESS를 비롯한 관련 엔지니어링 기술에 대한 지원을 요청, 독립전력망이라는 솔루션을 확보했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대용량 ESS와 신재생 에너지를 연계해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지 않는 독립적인 전력망을 구축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이는 세계에서도 최초의 사례로 꼽히고 있는 만큼 포스코ICT의 특화된 엔지니어링 기술력을 대내외에 입증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포스코ICT는 지난 2009년 12월부터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를 구축해 '스마트 리뉴어블'(Smart Renewable)' 분야의 과제를 수행했다. 특히 최근에는 일본 기업인 에디슨파워와 협력해 마이크로그리드망을 구축하고, ESS를 공급하는 사업을 추진하는 등 해외 사업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포스코ICT 관계자는 "포스코ICT는 차세대 성장동력을 확보한다는 차원에서 스마트그리드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에너지 사업을 집중 육성하고 있다"며 "IT와 엔지니어링 기술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는 장점을 활용, 적극적인 사업을 추진하는 한편 일본을 비롯한 해외 사업도 더욱 활발하게 펼쳐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포항'박승혁기자 psh@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수도권 주요 거점을 1시간 경제권으로 연결"
문형배, 尹 파면 후 "대통령·국회 갈등 해결 방도 없어"
[단독] 국민의힘, '한동훈 명의 당원게시판 사태' 덮었다
안철수 "한덕수는 출마 포기, 김문수·한동훈은 결단해야"
26명 목숨 앗아간 경북 산불 피의자 2명 구속영장 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