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껍다'와 '두텁다'는 쉬운 듯하지만 헷갈리는 우리말 순위를 매긴다면 상위권에 들어갈 만한 말이다. '책이 두껍다'와 '우정이 두텁다' 정도는 우리의 일상적 언어 감각으로 충분히 구분해 낼 수 있다. 그런데 '봉투가 두껍다'의 경우에는 '두껍다' 대신에 '두툼하다'를 많이 쓰기 때문에 그래서인지 발음이 비슷한 '두텁다'를 써야 할 것 같아 헷갈리는 사람이 더러 있다. 여기에서 '선수층이 두껍다/두텁다'나 '수비벽이 두껍다/두텁다'를 물어 보면 '두껍다'가 맞지만 '두텁다'를 선택하는 사람들이 오히려 많다.
사전에 보면 '두껍다'의 가장 기본적인 의미는 '두께가 보통보다 크다'이고, '두텁다'는 '신의, 믿음, 관계, 인정 따위가 굳고 깊다'이다. 이 둘만 가지고 보면 '두껍다'는 물질적, 구체적 상태를 말하는 것이고, '두텁다'는 추상적인 상태를 이야기하는 것이기 때문에 구분이 매우 쉽다. 앞의 예에서 '책이 두텁다'거나 '우정이 두껍다'라고 하지 않는 이유는 바로 그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선수층'이나 '수비벽'처럼 구체성을 지니는 말이 의미가 확장되어 추상성을 가지게 된 경우이다. 이 경우는 확장되어서 추상성을 가지게 된 현재의 말이 아닌 원래의 말을 기준으로 한다. 그래서 사전에는 '두껍다'의 두 번째 의미를 '층을 이루는 사물의 높이나 집단의 규모가 보통보다 크다'로 명시하고 있다.
'두껍다'와 '두텁다'가 헷갈리는 또 다른 이유는 두 말이 모두 한자로는 후(厚) 자를 쓴다는 점이다. 후(厚)는 일반적으로 '두터울 후'라고 읽고 후덕(厚德: 덕이 두터움)과 후생(厚生: 살림을 넉넉하게 함)과 같이 쓰인다. 그렇지만 후안무치(厚顔無恥: 얼굴이 두껍고 수치를 모름), 후견(厚絹: 두꺼운 명주)과 같이 '두껍다'의 의미로도 쓰인다. 그리고 보통 이상으로 더해주고 넉넉하게 해줄 때는 한자를 그대로 써서 '후하다'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지난주 우리 사회에서 가장 많이 이야기된 말이 '하후상박'(下厚上薄)이라는 것이다. 이 말은 아랫사람들에게는 후하게 대하고, 윗사람들에게는 박하게 대한다는 것으로 더 걷어야 될 것이 있으면 윗사람한테만 거둔다거나 윗사람이 많이 받는 것을 떼어서 아랫사람에게 준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좋은 말을 공무원연금을 깎으면서 국민들의 여론을 무마하는 명분으로 사용한다는 것이 참 서글픈 일이다. 현재 30, 40대 공무원들은 이미 두 번의 연금법 개정으로 퇴직한 선배들에 비해 더 많이 내고도 더 적게 받는다. 거기에다 조삼모사(朝三暮四) 하던 것을 조이모삼(朝二暮三) 하겠다는 것이 이번 연금법 개정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다. 하위직 공무원들에게 '보통보다 크다' '넉넉하다'고 할 정도로 줄 자신이 없다면 '하후상박'이라는 말장난은 하지 않는 게 좋을 것이다.
(능인고 교사)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