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에 놓인 한반도의 야생 생물을 살리기 위한 중앙정부 주도의 연구시설이 본격 착공에 들어간다.
환경부와 경상북도, 영양군은 27일 한반도 멸종위기생물 증식'복원 기능을 총괄 수행하는 '국립멸종위기종복원센터' 건립공사 착공식을 영양군 영양읍 대천리 건립부지에서 연다.
이날 착공식에는 정연만 환경부차관을 비롯해 김관용 경상북도지사, 권영택 영양군수, 국회 환경노동위 소속 새누리당 양창영 의원과 강석호 국회의원, 각계 전문가 등 400여 명이 참석한다.
'사라져 가는 한반도 생물이 살아납니다'라는 주제로 열리는 착공식에는 영양군 사물놀이단의 길놀이를 시작으로 멸종위기생물 복원 의의, 건립 배경 및 수행 기능 등을 담은 동영상 상영, 멸종위기생물 복원을 형상화한 공연 등이 진행된다.
국립멸종위기종복원센터는 2017년 개관할 예정이며 총사업비 875억원으로 부지면적 약 255만㎡, 건물 연면적 1만6천㎡ 규모다.
센터는 한반도 멸종위기생물을 증식'복원할 수 있는 전문인력, 연구'실험시설 등을 갖추고 멸종위기생물 증식'복원 및 중장기 정책을 총괄하는 기능을 수행할 계획이다.
특히 사업부지 내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인 대륙사슴, 사향노루, 스라소니, 검독수리, 저어새 등 행동반경이 큰 대형동물의 복원에 힘쓸 예정이다. 또 최근 관심이 높은 늑대와 표범은 정책적 차원에서 복원 타당성을 검토하고 있다.
이들 동물의 서식환경을 고려한 실내'외 사육장, 야외 방사장, 적응훈련장, 맹금류활강연습장 등 자연 적응시설이 만들어질 예정이어서 이들 동물의 복원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권영택 영양군수는 "국립멸종위기종복원센터가 본격 운영될 경우, 국가 멸종위기생물 보호'복원 사업의 총괄 역할을 맡게 된다. 한반도에서 절멸하거나 원종 확보가 곤란했던 종의 복원에 효과적인 기능을 수행할 것"이라며 "센터 건립은 영양이 생물다양성 인증과 친환경, 청정산업의 메카로 자리 잡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김호은 환경부 센터건립추진TF팀 팀장은 "그동안 멸종위기생물 증식'복원 연구는 장기적인 시간과 연구과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수익성이 낮아 민간에서 수행하기란 어려웠다. 게다가 증식'복원 사업이 지방자치단체, 민간 서식지 보전기관 등 다양한 기관에서 각각 수행되고 있어 체계적인 멸종위기생물 보호 및 복원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됐다"며 "환경부는 한반도 멸종위기생물을 국가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증식'복원하기 위해 지난 2013년 '국립멸종위기종복원센터 건립사업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본격 착공에 이르렀다"고 했다.
영양 엄재진 기자 2000jin@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