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이 서울대'경북대 등 전국 12개 국립대를 대상으로 '국가 연구개발 참여연구원 관리실태'에 대한 감사를 벌인 결과 19명의 교수가 비리에 연루된 것으로 밝혀졌다. 국립대 교수들이 국가 R&D 과제를 수행하면서 참여 연구원을 허위로 등록해 연구비를 받아낸 뒤 개인적 용도로 사용하는 행태가 또다시 드러난 것이다.
특히 이 가운데 지역의 중심 대학인 경북대 교수가 3명이나 포함된 것 또한 부끄러운 일이다. 이번 감사에서 비리가 적발된 경북대의 한 교수는 지난해 5월까지 5년 동안 취업한 학생 등 4~6명을 연구원으로 허위 등록해 3억원의 연구비를 가로챈 후 이 가운데 2억원이 넘는 돈을 개인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감사원은 이번 감사에서 연구비 중 7억2천여만원을 개인적인 용도 등으로 사용한 서울대 교수와 2억5천여만원을 착복한 경북대 교수 등 국립대 교수 19명에 대해 교육부와 해당 대학에 파면, 해임, 정직 등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잊을만하면 불거져 나오는 게 대학교수들의 연구비 횡령 등 비리 소식이다. 대학가의 연구비 횡령'유용'착복 등의 사례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국가 과제를 수행하는 국립대 교수들의 도덕적 해이가 심각한 수준인 것은 더욱 우려할만한 일이다. 반면, 대학교수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비의 규모는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이다. 교수 개인이 집행하는 연구비는 지역의 주요 대학도 교수에 따라 연간 수억원에 이르기도 한다. 그런데 국립대를 대상으로 한 이번의 감사결과만 보더라도 대학의 연구비 관리실태가 얼마나 허술한가가 잘 드러난다.
감사원은 연구비 비리 관련 교수에 대해 징계나 문책을 요구하는 것에 그치지 말고 검찰에 수사를 의뢰하거나 형사고발을 해야 한다. 국립대 교수는 모두 공무원 신분인 만큼 일벌백계 차원의 엄중한 대응이 필요하다. 나아가 대학가의 연구비 비리가 교수 개인의 양심과 학내의 자정 노력으로 해결할 수 없는 일이라면, 지속적으로 감사해야 한다. 국민의 혈세를 낭비하고 상아탑의 건강성을 해치는 부정'비리는 처음부터 차단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