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살아있는' 탄저균, 주한 미군 오산 공군기지에 배달 사고…탄저균의 위험성은?

사진. 온라인 커뮤니티
사진. 온라인 커뮤니티

'살아있는' 탄저균, 주한 미군 오산 공군기지에 배달 사고…탄저균의 위험성은?

미국 군연구소에서 살아있는 탄저균을 다른 연구기관으로 보내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탄저균 샘플은 주한 미군 오산 공군기지에도 배달된 것으로 알려졌다.

27일(현지시간) 미 국방부 스티브 워런 대변인은 "이 샘플은 규정에 따라 처리가 완료됐다"며 이 같이 밝혔다.

앞서 미국 국방부는 유타주의 군 연구소가 부주의로 살아있는 탄저균 샘플을 미국내 9개주의 다른 연구기관으로 보냈다고 이날 발표했다.

전염성이 높은 탄저균은 생물학 테러에서 흔히 쓰이는 병원균 중 하나로, 미국에서는 연구 목적으로 탄저균을 옮기더라도 반드시 죽은 상태여야 한다.

CNN 등 미국 언론들은 이번 일이 탄저균을 잘못 배송받은 미국 메릴랜드 주의 한 연구소의 신고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탄저병을 일으키는 탄저균은 대표적인 생물학무기로 알려져 있다. 탄저균은 바실러스 안트라시스라는 공식 명칭을 갖고 있는 흙 속에 서식하는 세균으로 길이 4-8㎛, 너비 1-1.5㎛이다.

주변 환경조건이 나쁘면 포자를 만들어서 건조상태로도 10년 이상 생존한다.

탄저병은 탄저균의 포자를 섭취해야 일어나며 주로 소, 양 등의 초식동물에게 발생하고 육식동물이나 사람에게는 발생 빈도가 적은 편이다. 탄저균의 포자에서 생성되는 독소가 혈액 내의 면역세포에 손상을 입혀서 쇼크를 유발하며, 심하면 급성 사망을 유발시킨다고 알려졌다.

뉴미디어부01 maeil01@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