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5월, '마스다 보고서'가 공개되자 일본 사회는 큰 충격을 받았다. 2040년까지 지방 시'구'정'촌의 절반인 896개가 사라진다는 예측 때문이다. 이와테현 지사를 지낸 마스다 히로야 전 총무장관이 쓴 보고서다. 그는 30년 이내 지방이 거의 소멸하고 대도시만 살아남는 '극점(極點) 사회'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본은 2015년 기준 국민 4명 중 1명(26.7%)이 노인이다. 하지만 지방 소멸의 최대 변수는 젊은 여성 인구다. 마스다 보고서는 20~39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고령 인구로 나눴을 때 그 값이 1.0 이하면 '인구 쇠퇴', 0.5 이하면 '인구 소멸' 단계로 봤다. 이른바 지역 소멸 가능성 지수다.
이 지수를 한국에 대입했더니 결과가 놀랍다. 올해 7월 기준 소멸 지수 0.5 미만인 지자체가 85곳에 달했다. 이대로라면 전국 228개 시'군 중 3분의 1 이상이 30년 후 없어진다. 전국 전체로 따지면 지난해 65세 이상 인구와 20~39세 여성 인구의 비율이 역전돼 1.0을 기록했다. 2005년 이후 11년 만이다. 일본이 16년, 미국은 21년이 걸렸다. 특히 의성'군위'청송'영양 등 소멸 위험이 높은 지역 10곳 중 6곳이 경북에 있다. 안동이 0.48, 대구시도 0.92로 떨어졌다.
게다가 고령화 추세도 가파르다. 2000년 '고령화사회'가 된 뒤 17년 만인 올해 8월 말로 고령사회로 들어섰다. 주민등록 인구 5천175만여 명 가운데 65세 이상 인구가 725만여 명으로 14.02%를 차지한 것이다. 유엔 기준에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7%를 넘으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은 고령사회,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다.
'지방 소멸'이라는 책에서 마스다는 "쉬운 것부터 하라"고 조언한다. 지방을 살리기 위해 당장 할 수 있는 것부터 하나씩 실행하라는 소리다. 인구 감소 대책을 아무리 서둘러도 그 효과가 나타나는데 30~60년이 걸리는 것을 감안하면 더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 그런데 우리는 거꾸로다.
아직도 산업화 시기의 모델인 수도권 성장 정책에 매달려 있다. 지방에 대한 낮은 인식과 지방 소멸 걱정은 조금도 하지 않는다. 수도권에 계속 공장을 짓고 젊은이가 더 몰리면 그 낙수효과로 지방도 산다는 헛소리가 전부다. 지방에 사람이 사라진 뒤에 낙수효과가 무슨 소용인가. 지금 우리 정부와 정치권의 시각이 얼마나 좁고 후진적인가를 마스다 보고서는 증명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땡전 뉴스 듣고 싶나"…野 신동욱, 7시간 반 '필리버스터'
김계리 "尹, 당뇨·경동맥협착·심장병…치료 안받으면 실명 위험도"
[매일희평] 책임지지 않는 무한 리더십
[매일희평] 두통령
홍준표 "尹보다 김건희 여사가 국민에 충격 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