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체 10곳 중 6곳은 4차 산업혁명이 고용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은행이 25일 발간한 '지역경제 보고서'를 보면 전국 272개 제조업체 가운데 59.0%가 4차 산업혁명으로 고용이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고용이 늘어나리라고 본 업체는 15.4%에 그쳤으며 고용에 영향이 없을 것이란 곳은 25.6%에 머물렀다.
업종별로 보면 석유화학·정제(71.4%), 자동차(68.4%), 철강(62.5%)에서 고용 감소 응답률이 높았다.
반면 정보기술(IT)산업에선 고용 증가 예상 업체가 46.2%로, 감소 전망 업체(19.2%)보다 높았다.
'고용 감소'를 예상한 업체 가운데 61.8%는 정규직·풀타임에서, 38.2%는 계약직·임시직·일용직에서 고용이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댓글 많은 뉴스
김문수 캠프 사람들 '친윤·반탄파'부터 경기도·경북고 라인까지
[날씨] 5월 6일(화) "흐리고 가끔 비"
한덕수 대선 예비후보 후원회장에 김석호 서울대 교수
이재명, 조계사 방문·불교 지원 공약 발표…전국 경청 투어 이어가
'최원태 호투도 허사' 삼성 라이온즈, 한화 이글스에 지며 3연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