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시가총액 1조달러 고지를 밟았다. 2일 종가 기준으로 1조17억달러(약 1천131조4천201억원)를 기록했다. 미국 기업으로는 처음이다.
스티브 잡스가 1976년 실리콘밸리에 있는 아버지 차고에서 창업한 애플이 42년 만에 시총 1조달러를 돌파하기까지 그 길은 파란만장했다. 1996년엔 순손실이 8억6천700만달러, 시총은 30억달러에도 못 미쳤다. 이사회 쿠데타로 쫓겨났다가 이 시기 애플에 복귀한 잡스는 '다르게 생각하라'(Think different)를 신조로 내걸었다. 그 성과물이 2007년 나온 아이폰이었다. 애플은 11년간 17종류의 아이폰을 내놨고 12억 개를 팔았다. 2007년 애플 시총은 734억달러로 현재의 10분의 1도 안 됐다.
1조달러 달성은 애플의 혁신 추구에 미국 경기 호황이 맞물린 결과다. 뉴욕 증시는 9년째 상승세다. 애플이 계속 잘나갈 것인가엔 물음표를 던지는 전문가들이 많다. 스마트폰 기술이 평준화되면서 경쟁이 거세지는 등 외부 요인도 있지만 열쇠는 애플 스스로 갖고 있다. 계속 혁신할 수 있는가에 애플 미래가 달렸다.
잡스도 예상치 못했을 애플의 성공을 보며 우리를 돌아보지 않을 수 없다. 반도체 외에 먹을거리가 없는 가운데 버팀목인 반도체마저 중국에 쫓기는 처지다. 성장을 이끌고 일자리를 만들고 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키워야 할 기업들은 투자는커녕 현금을 쌓아두고 엎드려 있다. 혁신의 주역이어야 할 젊은이들은 공무원과 같은 안정적 직업 찾기에 골몰하고 있다. 대한민국엔 혁신의 바람이 불지 않는다.
반기업 정서를 가진 이들이 정부와 여당에 포진한 점도 이 땅에서 제2의 애플 탄생을 어렵게 만든다. 애플도 예외가 아니듯 기업의 잘못을 따지자면 끝이 없다. 미국은 감세 등 파격 조치로 기업 투자를 활성화하고 있지만 한국은 기업을 옥죄는 발언과 조치들이 쏟아지고 있다. 이대로라면 한국에서 애플과 같은 기업이 나오기를 바라는 것은 토끼에게서 사슴 뿔이 돋기를 기대하는 것과 같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문형배 "선출권력 우위? 헌법 읽어보라…사법부 권한 존중해야"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
이준석 "강유정 대변인, 진실 지우려 기록 조작…해임해야"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