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 돌은 칼을 갈아 다 없애고 白頭山石磨刀盡(백두산석마도진)
두만강 물은 말을 먹여 다 없애리 豆滿江波飮馬無(두만강파음마무)
사나이 스무 살에 나라 태평 못 이루면 男兒二十未平國(남아이십미평국)
후세에 어느 누가 대장부라 불러주랴 後世誰稱大丈夫(후세수칭대장부)

이 시를 지은 남이(南怡: 1441-1468) 장군은 담대한 무인 기질의 호쾌하기 짝이 없는 쾌남아였다. 그는 개국 공신의 후예로서 화려한 가문에서 태어났지만, 모두가 선망하던 문과 대신에 무과에 합격하여 벼슬을 시작했다. 이시애의 난과 여진족 토벌에서 큰 공을 세워 젊은 나이에 명성을 떨쳤으며, 세조의 사랑을 바탕으로 하여 겨우 27세 때 공조판서, 28세 때는 오늘날의 국방부 장관에 해당되는 병조판서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병조판서에 임명된 지 불과 13일 뒤에 세조가 세상을 떠나버렸고, 평소 사이가 좋지 않았던 예종이 즉위했다. 예종은 즉위하던 그날 남이를 병조판서에서 전격적으로 해임하였고, 남이의 급격한 부상을 시기하고 질투하던 조정의 신하들이 '이 때다' 하고 그를 마구 뒤흔들기 시작했다. 급기야 달포 뒤에는 간신 유자광에 의하여 역모 혐의가 씌워졌고, 그로부터 불과 3일 뒤에 저잣거리에서 온몸이 갈기갈기 찢어지는 처참하기 짝이 없는 죽음을 당했다.
위의 작품은 혜성처럼 찬란하게 등장했다가, 불꽃놀이처럼 아주 허무하게 사라져버렸던, 비극적 풍운아 남이 장군이 이시애의 난을 토벌한 뒤 백두산에 올라가서 지었다는 시다. '백두산 돌은 칼을 갈아 다 없애고/ 두만강 물은 말을 먹여서 모두 다 없애'버린다니, 그 엄청난 스케일부터가 독자들의 입을 딱 벌어지게 한다. 게다가 그는 20대의 젊음이 가기 전에 나라를 태평하게 하겠다는 엄청난 포부를 거침없이 토로하고 있다. 후세 사람들께 대장부라 불리기 위해서는 그 정도의 포부를 구체적인 현실 속에서 실천적으로 구현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 단순한 허풍이나 수사적 과장에 불과한 걸까? 아니다, 그렇지는 않을 것 같다. 그것은 남이의 웅혼한 생애에 상응하는 호쾌하고도 장쾌한 기상의 소산일 것이다.
이 대목에서 나는 이 시대의 젊은이들에게 주제 넘는 질문을, 그것도 아주 심하게 주제 넘는 질문을 던져보고 싶다. 그대들은 지금 어떤 꿈을 꾸고 있는가? 뭐라고? 아버지의 재산을 물려받아 임대업자를 꿈꾸고 있다고? 그 꿈이 이루어지면 후세 사람들이 과연 대장부라 불러줄까?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