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사상 첫 생산인구 감소, 제조업 고용 공백 막을 대안 있나

숙련 노동 인력 부족이 갈수록 심화하면서 지역 중소 제조기업의 활동도 크게 위축되고 있다. 위험하고 힘든 일을 기피하는 현상에다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의 대량 은퇴가 급물살을 타면서 기업마다 경영 위기감이 번지고 있어서다. 인구 감소가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이 큰 현실에서 코앞에 닥친 '고용 공백'을 예방하고 파장을 최소화할 대책 마련이 급하다.

10일 발표된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 조사 결과를 보면 2018년 생산가능인구는 3천679만6천 명으로 전년과 비교해 6만3천 명이 줄었다. 2000년 이후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기는 지난해가 처음이다. 여기에 전문가들은 '총인구가 줄어드는 인구 감소 시점이 예상보다 크게 앞당겨질 가능성이 높다'는 견해를 내놓고 있다.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0.97명으로 전망돼 역대 최저치인 2017년의 1.05명보다 더 낮아 이런 추세라면 5년 내 총인구 감소가 현실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총인구 감소나 생산인구 감소는 단순한 수치상의 변화가 절대 아니다. 이는 주력산업 경쟁력 약화, 경제 활력 저하 등 그 파장이 실로 크다. 특히 숙련 노동인구의 대량 은퇴는 심각한 문제다. 청년층의 중소 제조업체 기피 세태에다 베이비붐 세대의 고용 공백을 메울 마땅한 대안이 없어 기업 활동의 최대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 자동차부품, 섬유, 기계 등 노동집약적 산업구조를 가진 지역 제조업계의 시름이 갈수록 깊어지는 이유다.

대구상공회의소가 최근 204개 지역 제조업체를 조사해보니 경력 10년 이상 숙련 인력의 비중이 고작 34.7%였다. 이마저도 은퇴를 앞둔 베이비붐 세대가 대다수라는 점에서 심각성을 더한다. 정년 후 재취업 등 숙련 인력을 계속 활용할 수 있는 노동 구조 개선 등 정책 전환이 시급하다. 외국인 노동자를 무작정 늘리는 것도 무리다. 지금이라도 지방정부와 기업이 협력해 근본 해결책 마련을 서두를 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