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60대 이상 모바일뱅킹 이용자 8명 중 1명뿐

한은 지급결제보고서 "ATM 이용 사각지대 최소화해야"

60대 이상의 모바일뱅킹 이용자 수가 8명 중 1명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뱅킹이 확산되고 있지만 중장년층은 상대적으로 금융서비스에서 소외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2018년 지급결제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3개월 내 모바일 금융서비스를 이용한 적 있다'는 응답자는 63.5%였다. 1년 전보다 15.2%포인트(p)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10~12월 2천597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금융서비스 이용 행태를 조사한 결과다.

연령대별로 보면 50대의 모바일뱅킹 이용률이 전년 33.5%에서 지난해 51.8%로 18.3%p 상승했다. 30대(89.3%)는 17.5%p, 40대(76.9%)는 15.7%p, 20대(79.6%)는 5.6%p 각각 올랐다. 하지만 60대 이상에선 13.1%만 모바일뱅킹을 이용해봤다고 답해 1년 전보다 7.6%p 상승에 그쳤다.

모바일 지급서비스 이용률은 20대(53.6→80.8%), 30대(50.6→78.2%), 40대(28.0→54.0%)에서 크게 확대됐다. 50대 이상(26.2%)은 17.7%p, 60대 이상(6.7%)은 4.6%p 오르는 등 연령이 높아질수록 모바일 이용 확대가 더뎠다.

한편 은행 현금자동입출금기(ATM)가 줄면서 인터넷·모바일 뱅킹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자 및 저소득층의 현금 이용이 어려워진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국내에 설치된 ATM은 2017년 말 12만1천492대로 2013년 말 12만4천236대에서 2천744대 감소했다.

특히 은행 등 금융기관이 운영하는 ATM의 감소 속도가 빨랐다. 금융기관 ATM은 2013년 말 8만6천810대에서 2017년 말 7만6천755대로 4년 만에 1만55대 감소했다. 영업점을 축소하며 ATM도 같이 철수한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ATM은 인터넷 및 모바일 뱅킹에 익숙지 않은 계층에게 주요한 금융서비스 채널로 기능하고 있다"며 "ATM을 공공인프라 측면에서 인식해 ATM 배치의 효율성을 높이는 등 사각지대 발생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