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청 신청사 유치전에 나선 중구와 달서구, 달성군 단체장들이 '대구시 신청사 건립추진 공론화위원회'(이하 공론화위)의 운영 방침을 놓고 불투명성과 편파성이 우려된다며 개선책을 촉구하고 나섰다. 반면 북구는 공론화위의 방침에 순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시와 기초단체, 그리고 기초단체 간 상당한 갈등이 예상된다.
대구 중구와 달서구, 달성군의 구청장과 군수, 의장, 신청사유치위원장 등 11명은 28일 오후 대구 달서구 이월드 83타워에서 비공개 간담회를 열고 "공론화위의 운영 정책은 특정 단체에 편파적으로 작용할 여지가 크다"며 보완을 촉구하는 공동의견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현 대구시청사 위치의 타당성 조사 연구를 포함한 공정하고 투명한 연구용역을 실시할 것 ▷대구경북 출자·출연기관인 대구경북연구원 대신 제3의 공신력 있는 용역기관으로 교체할 것 ▷대구시가 현행 20명으로 꾸린 공론화위에 8개 구·군이 2명씩 추천한 16명의 위원을 더해 모두 36명으로 확대 구성할 것 ▷회의 내용을 포함한 모든 운영 과정을 즉시 공개할 것 ▷시민참여단 구성을 애초 계획한 250명에서 1천명으로 확대할 것 ▷각 후보지 홍보 감점 제도 폐지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내달 중 2차 간담회를 열기로 하고, 이날 불참한 북구청장 및 관계자들의 참석을 요청했다.
반면 이날 뜻을 모은 3개 구·군과 달리 북구청은 "공론화위의 결정에 따르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북구청 관계자는 "지난달 25일 8개 구·군 공동협약식에서 구청장·의장이 후보지 선정 절차에 따르기로 약속한 만큼 공론화위 운영 방침을 존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대구시는 지난해 제정한 관련 조례에 따라 공론화위를 꾸리고, 국토연구원·대구경북연구원 용역을 거쳐 후보지 선정 기준을 정하기로 했다. 이후 공론화위가 정한 기준에 따라 250명의 시민참여단이 채점을 거쳐 신청사 후보지를 결정한다.
그러나 최근 지역사회 일각에선 공론화위원 20명 가운데 시장과 시의회 의장이 위원을 각 7명씩 14명(70%)을 선정한 점, 후보지 선정 기준을 정하는 연구용역에 대구시 입김이 반영될 수 있는 점 등을 들어 '공론화 절차는 겉치레일 뿐, 대구시 뜻에 따라 후보지가 결정할 것'이라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해 대구시와 공론화위는 "공정성을 해칠 가능성은 전혀 없다"는 입장이다. 김태일 공론화위 위원장은 "대구경북연구원은 신청사·부지 규모 결정에 의견만 낼 뿐, 시민 주권기구인 대구시의회가 제정한 조례에 따라 신청사 후보지를 선정한다"며 "만약 각 구·군청이 절차상 문제를 지적하려면 조례 개정을 요구하는 것이 옳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