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소비는 줄여도 '빚투·영투'는 계속…작년 3분기 가계금융부채 역대 최대

5일 서울시내 한 은행 대출창구를 찾은 고객들이 상담을 받고 있다. 연말 가계대출 조이기에 나섰던 은행권이 중단했던 비대면 신용대출을 속속 재개하고, 일부 은행은 신용대출 최대한도 축소 조치를 일부 완화하는 등 연초 은행 대출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5일 서울시내 한 은행 대출창구를 찾은 고객들이 상담을 받고 있다. 연말 가계대출 조이기에 나섰던 은행권이 중단했던 비대면 신용대출을 속속 재개하고, 일부 은행은 신용대출 최대한도 축소 조치를 일부 완화하는 등 연초 은행 대출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영향으로 자영업자들의 대출 증가와 함께 부동산·주식투자를 위한 대출이 몰리면서 지난해 3분기 우리나라 가계의 증권 투자와 금융 부채 규모가 동시에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0년 3/4분기 자금순환'(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가계 및 비영리단체(이하 가계) 부문의 순자금 조달 규모는 53조2천억원으로 2019년 3분기(24조원)보다 29조2천억원 증가했다.

자금순환 통계란 일정 기간에 자금순환 통계란 일정 기간에 발생한 돈의 흐름을 경제주체와 금융자산별로 기록한 것이다. 통계를 살펴보면 해당 기간 돈이 어디에서 어디로 흘러갔는지를 총괄적으로 가늠할 수 있다.

경제 주체의 여유자금으로 해석되는 가계의 '순자금운용'(자금운용-자금조달)이 양(+)의 값을 나타내면 금융자산의 순취득액이 금융부채의 순발행액보다 더 컸다는 뜻이다.

지난해 3분기 가계의 자금 운용은 83조8천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조2천억원 늘었다. 가계의 순자산운용 규모가 늘어난 이유는 자금운용 규모가 대폭 증가했기 때문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마이너스(-)를 보였던 지분증권 및 투자 펀드가 작년 3분기 주식 투자의 증가로 22조5천억원 늘어났다. 코로나 이후 일어난 '빚투'가 한 몫했다. 반면 금융기관 예치금은 전년 동기 대비 2조8천억원 줄었다.

비금융법인기업(이하 기업)의 경우 코로나 사태에 따른 유동성 확보를 위해 금융기관 예치금이 7조8천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조3천억원이나 늘었다.

기업의 자금조달도 같은 기간 26조5천억원에서 38조7천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반면 가계의 소비는 코로나 영향으로 오히려 줄어들었다. 민간최종소비지출은 2019년 3분기 233조9천억원에서 지난해 3분기 226조2천억원으로 감소했다. 하지만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하면서 재난지원금 등을 지급한 결과 가계의 처분가능소득은 412만겨8천원에서 425만1천원으로 늘어났다.

이와 관련해 한은 관계자는 "코로나 사태로 정부 지원금 등 이전소득을 중심으로 가계소득이 늘었지만 소비가 위축돼서 순자금운용이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라며 "자영업자들은 코로나 피해로 인한 대출을, 일반 국민들은 자산 증가를 위해 소비는 줄이고 대출을 통해서 투자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