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부 "코로나 취약시설 선제검사 강화…전체 장애인시설 주1회 실시"

정 총리 "변이 바이러스 지역 유입 가능성 철저 대비"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이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현황 등에 대해 비대면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이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현황 등에 대해 비대면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장애인 시설, 노인요양 시설 등 코로나19 감염 취약시설에 대한 선제검사 등을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10일 정례브리핑에서 현재 중증 장애인 시설을 대상으로 주 1회 시행하는 선제적 진단검사를 전체 장애인 시설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중대본은 장애인 시설에서 확진자가 발생하면 현장대응팀을 즉시 파견하고 긴급돌봄 인력도 추가 확보할 방침이다.

현재 장애인 시설과 관련해선 국립재활원을 장애인 전담병원으로 지정해 의료 및 돌봄인력 6명을 지원하고 있다.

이와 함께 중대본은 노인요양 시설의 방역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모든 종사자에 대해 주 1회 선제검사를 하고, 휴일 후 외부 접촉을 한 사람이나 유증상자에 대해서도 신속항원검사를 추가 실시한다.

시설 종사자의 외부활동을 관리하기 위해선 휴무일이나 퇴근 후 다중 모임 등에 참여할 경우 시설장에게 동선계획을 사전 보고하도록 했다.

또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하면 추가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신속히 환자를 전원하고 밀접접촉자는 1인 1실에 격리한다.

시설 내 격리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는 별도 격리장소를 마련할 예정이다.

아울러 올해 상반기에 찾아가는 심리지원을 위한 '안심버스' 13대를 운영하고, 코로나19 대응 인력에게는 심리안정에 필요한 물품을 감염병 전담병원을 통해 제공하기로 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이날 회의에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의 국내 유입 차단이 발등에 떨어진 과제"라며 "현재까지 16건의 변이 바이러스 국내 유입사례가 확인돼 모두 검역, 자가격리 등 방역망 내에서 관리되고 있지만 방심은 금물이다. 지역사회로 유입될 가능성에 철저히 대비해 주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