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조만현 동우씨엠(주) 회장 "블루시장 개척 올인"

"정부, 주택보급율만 보고 긴장감 상실" 지적도

동우씨엠건설 조만현 대표이사.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동우씨엠건설 조만현 대표이사.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조만현 동우씨엠(주) 회장이 지난해 한국부동산경제단체연합회 회장으로 선임되면서 직접 맡고 있는 직함은 3개로 늘었다. 그는 기존의 (사)한국주택관리협회 회장직까지 개인과 공공단체 대표직 활동으로 바쁜 일상을 보내면서도 "대구 시장은 좁다"며 중앙 진출 활로를 꾸준히 모색 중이다. 수면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지만 일정의 절반을 서울에서 보낸다. 다음은 조 회장과의 일문일답.

▶중앙 진출을 꾀하는 이유는?

- 아는 사람은 알겠지만 나는 화성산업 출신이다. 화성에서 근무할 때 이인중 회장님께서 말씀하셨다. "현재에 안주하지 말고 계속 도전하라"고 했다. 현재 대구의 시장은 너무 작다. 일부 1군 업체가 있지만 안정적 경영으로 인해 역동적이진 않다. 지역 시장만 보고 안주하려는 경향이 있다. 지역 건설 업체가 위축되는 것을 보고 안주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현재 성공적이라고 자부하는가?

- 다른 지역에 진출하는 것은 쉽지 않다. 처음으로 수도권 진출 의욕을 가졌던 게 10여 년 전이다. 강남에 사무실과 직원을 마련하고 공격적으로 시작했다. 그러다 금융위기가 찾아오면서 퇴각했다. 남아 있는 미련 때문에 3년 전 다시 강남 사무실을 재오픈하고 시장 다각화에 나서고 있다. 지금은 주5일 간 근무 일정 동안 2, 3일은 서울 일정을 소화한다. 이동 시간이 많아, 수면 시간을 대폭 줄였다.

동우씨엠건설 조만현 대표이사.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동우씨엠건설 조만현 대표이사.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바쁜 사업 스케줄 속에도 단체 활동에 나서는 이유는?

- 나와 연관된 사업 시스템이 사회에서 작동하는 데 미흡한 점이 많아 개선책을 찾아보려고 시작한 것이다. 기존 법을 그대로 두고 나만 돈을 벌려 한다면 얼마든지 가능하다. 하지만 불합리한 시스템은 반드시 개선돼야 한다. 사회를 위해서, 다음 세대를 위해서 좋은 일이라면 의견을 공유하고 개선해 나가는 게 바람직한 것 아닌가.

▶한국주택관리협회장으로서 한 일은?

- 사실 뒤돌아 보면 별로 한 게 없다. 단체의 이익과 사회에 미치는 공익성을 위해 나름대로 열심을 냈는데 가장 중요한 몇 가지가 여전히 답보 상태이기 때문이다. 우선 주택관리협회가 법정단체가 돼야 하는데 아직 그런 지위를 얻지 못했다. 협회의 의견을 법제화하는데 주입할 수 있도록 백방으로 노력했으나 아직 법정기구가 아닌 자문기구에 머물러 있다. 회원들께 미안한 부분이다.

▶현행 주택관리의 문제점은?

- 주택관리업이 수준 높은 서비스로 선진국모델을 제시할 수 있도록 시장경제의 한 축으로서 인정돼야 한다. 주택관리업자 및 사업자 선정 지침은 주거시장에서 현실과 동떨어진 갈등관계만 양산하는지, 규격화된 낮은 수준의 서비스로 방치되고 있는지 연구가 돼야 하고, 자율경쟁을 통해 특화된 전문성을 가진 업체가 발전할 수 있도록 궁극적으로 사업자 선정 지침은 폐지돼야 한다.

▶최근 한국부동산경제단체연합회 회장으로 선임됐는데?

- 2016년에 설립한 한국부동산경제단체연합회는 부동산 경제인의 권익 신장과 부동산산업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표로 하고 있다. 8개 소속 단체가 공통의 현안 문제와 목적을 발굴해 정부에 건의하는 등 대책을 마련하고, 침체된 부동산 경제단체의 활성화를 위해 부동산 산업의 선진화를 위해 노력하겠다.

▶현재 부동산 정책을 진단해 본다면?

- 주택보급률이 100%를 넘어서면서 정부가 주택 공급에 대한 긴장감을 잃어버린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보급률은 어디까지나 현상일 뿐이지 서민들의 실생활과는 괴리가 있다. 주택자가 점유율이 60%에 머물러 있는 것을 주목해 보자.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서민들의 내 집 마련 정책은 아직도 갈 길이 먼 상황이다.

▶해법은?

- 정권이 바뀔 때마다 '규제'와 '지원'이라는 정책이 반복적으로 소멸되거나 나타나서는 안 된다. 최소 10년, 장기적 플랜을 갖고 주택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국민의 소득과 재산 규모가 상승하는 경제 상황에서는 정책의 약발도 잘 받겠으나, 지금은 저성장 장기화에 코로나 악재까지 겹쳐 그야말로 '경제 비상시국'이다. 부동산 시장의 양적 팽창이 우리 사회에 앞으로 어떤 영향을 줄지 고민해야 한다. 실물 경제 규모를 능가하는 부가가치 시장은 결국 국가와 국민에게 새로운 부담으로 다가올 것이고, 새로운 악순환의 시발점을 알리는 신호탄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