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 유치원‧어린이집 원생 등의 코로나19 감염이 잇따르는 가운데 감염된 아이의 부모에게 비난이 쇄도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무분별한 비난을 쏟아내는 것은 개인에게 상처로 남을 뿐 아니라 전체 방역에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12일 대구시에 따르면 8일 최초 확진자가 발생한 달서구 한 키즈카페는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가 6명이다. 이 중 5명은 키즈카페 이용자(방문자 4명, 종사자 1명)다. 나머지 1명은 이용자의 가족이다.
지난 주말 키즈카페 관련 검사자가 900명을 웃도는 등 상황이 심각해지자 키즈카페 방문자들을 향한 비난이 이어졌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학부모 커뮤니티에는 "이 시국에 키즈카페에 가는 게 제정신이냐"는 원색적인 글이 쏟아졌다.
이에 대해 방역수칙을 어긴 것도 아닌데 과도한 마녀사냥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어린이집에 다니는 4살 딸을 둔 A(29) 씨는 "하루 종일 뛰어다녀야 하는 아이들이라서 부모가 집에서만 놀아주는 것은 한계가 있다. 식당, 카페에도 사람이 붐비는데 키즈카페에 방문했다는 이유만으로 비난하는 것은 과도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주부 B씨는 "주말마다 식당, 유원지, 마트 등은 인산인해를 이루면서 어떤 곳에 확진자가 다녀갈지는 복불복이다. 이제는 일상 속 어디에서나 감염 위험이 존재하기 때문에 방역 수칙을 위반한 게 아니라면 비난받을 이유가 없다"고 했다.
학교와 유치원·어린이집 등 아이들이 집단으로 생활하는 곳에서는 작은 감기 증세에도 눈총을 받는 분위기다. 다중이용시설 방문을 쉬쉬하려는 분위기도 있다.
초등학교 1학년 자녀를 둔 C(38) 씨는 "아이가 조금이라도 아픈 증세를 보이면 '친구들로부터 코로나 꼬리표가 붙지는 않을까' 걱정을 하더라"며 "등교하면 '주말에 뭐했냐', '엄마 아빠랑 어디 갔다 왔냐'는 식의 질문을 받는다. 주말에 나들이를 다닌 걸 친구들이 알면 차별을 받을까봐 누구에게도 하지 말라고 일러뒀다"고 말했다.
이경수 영남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일상 곳곳에 감염 위험이 스며들어 있는 상황에서 최초 확진자는 발견만 먼저 됐을 뿐 어디서 감염된 건지 경로를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며 "확진자 개인에게 책임을 물어 움츠러들게 만드는 것은 접촉자 파악에 걸림돌이 돼 방역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