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각 부처들이 기획재정부에 요청한 내년 예산이 60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재부는 3일 각 부처(중앙관서)가 지난달 31일까지 요구한 내년 예산을 593조2천억원으로 집계했다고 밝혔다. 올해 예산 대비 6.3% 증가한 수준이다.
앞으로 기재부는 심의 절차를 거쳐 내년 예산 정부안을 9월 3일까지 국회에 제출할 방침이다.
각 부처는 한국판 뉴딜과 K자형 양극화 해소 등 정부의 핵심과제와 관련한 예산을 중점적으로 요구했다.
분야별로 보면 환경과 복지, 연구개발(R&D), 국방, 산업·중기·에너지 등 분야에서 높은 증가율을 요구했다.
사회간접자본(SOC)과 일반·지방행정 분야 등은 한시적 지출 정상화 등으로 요구액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환경 분야는 전기·수소차 인프라와 온실가스 감축설비 지원 등 그린뉴딜과 2050탄소중립 이행기반 투자 중심으로 17.1% 증액을 요구했다.
이 분야 예산 요구액이 12조4천억원으로 올해 예산인 10조6천억원보다 상당히 늘었다.
보건·복지·고용 분야에는 맞춤형 소득·주거·돌봄 안전망 및 고용안전망 강화를 통한 K자형 양극화 해소 예산이 포함된다.
이 분야 예산 요구액은 219조원으로 올해 예산 199조7천억원보다 9.6% 많다.
보건·복지·고용 분야 예산이 처음으로 200조원을 돌파하는 것이 사실상 확실시된다.
R&D 분야에서는 디지털·탄소중립 경제로 전환을 위한 한국판 뉴딜, 소재부품장비 등을 중심으로 29조원의 예산을 요구했다. 올해 예산 대비 증가율로 보면 5.9%에 달한다.
국방 분야에선 위성통신·항공통제기 등 방위력 강화 소요와 봉급·급식단가 등 장병 사기진작 등을 위해 5.0% 증액된 55조7천억원을 요구했다.
일반·지방행정 분야는 지방채인수·지역상품권 등 한시지출사업 정상화에 따라 내년 예산을 올해보다 0.6% 감액된 수준으로 요구했다.
교육 분야에는 그린스마트스쿨, 국가장학금 등 핵심투자 소요 중심으로 내년 예산을 올해보다 2.0% 증액한 수준으로 요청했다.
SOC분야는 국가하천, 도로, 철도 등 노후SOC 안전투자, 디지털화 등 필수투자 중심으로 0.1% 증액을 요구했다.
기재부는 "내년도 경기상황과 세입·지출 소요 등 재정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예산안을 편성할 예정"이라면서 "강력한 지출구조조정을 통해 마련된 재원으로 한국판 뉴딜과 K자형 양극화 해소 등 핵심과제에 재투자해 재정지출의 효율성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