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5·18 시민군 상황실장, 노태우 빈소에서 "화합 계기 되길"

계엄군에 잡혀 '사형 선고' 박남선 씨, 노재헌 변호사 등 유족 만나 위로도
전두환 전 대통령 향해 "이제라도 유족·피해자에 용서 구하라"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전남도청에서 시민군 상황실장을 맡았던 박남선씨가 27일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노태우 전 대통령 빈소를 찾아 조문한 뒤 유족인 딸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 아들 노재헌 동아시아문화센터 이사장과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전남도청에서 시민군 상황실장을 맡았던 박남선씨가 27일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노태우 전 대통령 빈소를 찾아 조문한 뒤 유족인 딸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 아들 노재헌 동아시아문화센터 이사장과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전남도청에서 신군부에 맞섰던 박남선 당시 시민군 상황실장이 27일 서울대병원 노태우 전 대통령 빈소를 찾아 '화합'을 기원했다. 노 전 대통령이 아들을 통해서라도 피해자들에게 용서를 구한 점을 고려했다는 입장이다.

박 씨는 지난 1980년 5월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시민군 상황실장을 맡으며 신군부에 맞섰다. 그는 계엄군에 잡혀 가혹한 고문을 당하고 사형수로 복역하다 3년여 만에 풀려났다.

이날 박 씨는 노 전 대통령 아들이 노재헌 변호사와 악수하고 조문을 마쳤다. 그는 기자들과 만나 "5·18이 발발한 지 41년이지만 실체적 진실이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고, 전두환 전 대통령을 비롯한 여러분이 사죄의 말씀을 해준 것도 없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데도 고인이 되신 노 전 대통령께서는 아드님이신 노재헌 변호사를 통해 여러 차례 광주학살에 대한 책임을 통감하고 거기에 대해 사죄한다고 이야기하셨다. 물론 본인의 육성으로 그런 얘기를 들은 바는 없다"고 덧붙였다.

노 전 대통령은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신군부에 몸담은 채 시위대를 강제 진압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그런 그가 "과오를 용서바란다"는 유언을 남긴 사실이 유족에 의해 알려졌다.

박 씨는 "본인(노 전 대통령)께서 직접 사죄하는 모습을 보였으면 좋겠다고 아드님께 말씀드렸지만, 병석에 누워계셔서 아드님께서 광주를 방문했다고 했다"며 "전두환 씨를 비롯한 어떤 사람도 사죄 표명이 없었는데 노 전 대통령께서는 (아드님을 통해) 그런 입장을 밝혀 내가 오늘 조문을 왔다"고 설명했다.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전남도청에서 시민군 상황실장을 맡았던 박남선씨가 27일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노태우 전 대통령 빈소를 찾아 조문한 뒤 유족인 딸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 아들 노재헌 동아시아문화센터 이사장과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전남도청에서 시민군 상황실장을 맡았던 박남선씨가 27일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노태우 전 대통령 빈소를 찾아 조문한 뒤 유족인 딸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 아들 노재헌 동아시아문화센터 이사장과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의 국가장 결정에 대해서 그는 '5·18 유족 전체 입장이 아니라 제 개인 입장'이라면서 "사람이 살다 보면 잘잘못이 있는데, 잘잘못을 통렬히 반성하는 입장이라면 굳이 국가장에 반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온 국민이 통일을 염원하는데 이제 오늘을 기점으로 정치 세력들이 화해하고 화합하고 용서했으면 하는 것이 내 마음"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노 전 대통령과 달리 책임을 인정하지 않고 있는 전두환 전 대통령을 언급하기도 했다.

박 씨는 "전두환 씨가 돌아가셨으면 오지 않았을 것인데, 노 전 대통령은 용서를 구했고 이제 책임을 물을 수 없는 시점이 돼 왔다"면서 전 전 대통령을 향해 "이제라도 늦지 않았다. 광주 학살에 대한 사죄 표명을 하고 유족들이나 피해자들에게 용서를 구했으면 하는 마음이 간절하다"고 했다.

한편, 유족 측은 "노재헌 변호사가 광주에 갔을 때 박 씨를 만났다. 당시 박 씨가 노 전 대통령이 돌아가시면 오겠다고 약속했고, 그 약속을 지키러 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