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전 대통령이 23일 별세하자 정치권에선 진영별로 상이한 반응이 나왔다. 여야 대선주자들은 모두 조문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은 '전두환 씨'라는 호칭을 사용하며 고인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송영길 민주당 대표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그의 생물학적 수명이 다하여 형법적 공소시효는 종료되었지만 민사적 소송과 역사적 단죄와 진상규명은 계속될 것"이라며 "전두환 사망에 대하여 민주당은 조화, 조문, 국가장 모두 불가다. 역사의 진실을 밝히고 이에 대한 정의를 세우는 길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고용진 민주당 선대위 수석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에서 "군사 쿠데타를 통해서 집권한 후 8년여를 철권통치로 민주주의를 후퇴시키고 인권을 유린한 것에 대한 참회도 없었다. 참으로 아쉽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광주·전남·전북을 지역구로 둔 민주당 의원들은 이날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전 전 대통령의 국가장에 반대한다는 공동성명도 발표했다.
정의당은 이동영 수석대변인의 브리핑을 통해 "80년 오월의 진실을 끝내 밝히지도 않고, 민주주의 유린과 광주 학살에 대한 단 한 번의 사과도 없이 전두환 씨가 오늘 사망했다. 5·18 유족들과 시민들은 원통하고 참담한 심정"이라고 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추모 수위를 두고 고심을 거듭하다 당 차원에서 조화는 보내되, 조문은 의원들의 선택에 맡기기로 결정했다.
조문 계획이 없다고 밝힌 이준석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전 전 대통령의 경우 본인도 그렇고 가족도 그렇고 노태우 대통령 일가와는 과오에 대해 다른 자세를 보여왔다"며 "제가 어제 김영삼 대통령 6주기 (추모식)에도 다녀왔지만 기본적으로 우리 당은 민주화의 선상에서 앞으로의 가치를 찾아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민의힘은 공식 논평을 내지 않았다.
국민의당은 안혜진 대변인 명의 논평에서 "전 전 대통령의 명복을 빌며 애도를 표한다"면서도 "전 전 대통령은 12·12 군사 반란과, 5·18 민주화운동을 유혈 진압한 역사적 범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다시는 이런 불행한 역사가 반복돼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여야 대선주자 4인방은 모두 조문하지 않기로 결정했지만, 추모 수위는 다소 달랐다.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는 "결코 용서받을 수 없는 범죄에 대해 마지막 순간까지도 국민께 반성하고 사과하지 않았다"며 "중대 범죄 행위를 인정하지도 않은 점을 참으로 아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 예우를 박탈당했으니 전두환 씨라고 하는 게 맞겠다"면서 "전두환 씨는 명백하게 확인된 것처럼 내란 학살 사건의 주범이다. 최하 수백명의 사람을 살상했다"고 비판했다.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도 "전두환 씨가 끝내 진실을 밝히지 않고, 광주 학살에 대한 사과도 없이 떠났다"며 "역사를 인식한다면 국가장 얘기는 감히 입에 올리지 않기를 바란다. 성찰 없는 죽음은 그조차 유죄"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일단 돌아가신 분에 대해서는 삼가 조의를 표하고 유족께 위로 말씀을 드린다"고 애도를 표했다. 고인의 생전 과오에 대한 질문에는 "상중이니까 정치적 이야기를 그 분과 관련지어 하기는 시의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고 말을 아꼈다.
윤 후보는 당초 조문 계획이 있다고 밝혔으나 수석 대변인을 통해 "조문하지 않기로 했다"고 입장을 번복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는 "전 전 대통령의 명복을 빌고, 유족들께도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면서도 "고인의 역사적 과오에도 불구하고 이를 끝내 인정하지 않고 국민께 사과하지 하지 않은 채 생을 마감한 것은 유감스러운 일"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