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 수준이 고정금리보다 높아지는 '금리역전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당분간 신규 대출 시 변동금리보다 고정금리가 유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8월과 11월 기준금리를 0.25%씩 올린 가운데 시중은행의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최고금리가 5%대를 넘어서며 혼합형(5년 고정금리 후 변동금리 전환) 주담대 금리를 추월하는 모습이다.
통상 고정금리는 변동금리보다 높게 설정한다. 추후 금리상승 가능성 때문에 은행이 지는 위험성에 따라 붙이는 가산금리 때문이다.
9일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 10월말까지 혼합형 주담대 금리는 연 3.88~5.246%로 변동형 주담대 금리(3.34~4.794%)보다 상단이 0.452%p, 하단이 0.54%p 더 높았다. 하지만 이달 들어 주담대 변동금리는 연 3.59~5.01%로 혼합형 주담대(3.63~4.99%)보다 금리 하단은 0.04%p 낮지만, 상단은 0.02%p 높아졌다.
변동금리가 고정금리를 추월하는 것은 기준금리 인상을 선반영해 상승세를 보이던 고정금리 상승세가 최근 주춤해져서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장기금리가 하락 안정화 추세지만 단기금리는 추가 상승 여력이 있다. 신규 주담대에서 변동금리보다 고정금리를 선택할만한 상황"이라고 조언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