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대구에서는 캠프워커 부지 반환 기념식 및 '시민들과 함께하는 100년의 벽' 행사가 열렸다. 대구 남구에 있는 미군 비행장인 '캠프워커' 부지가 100년 만에 대구 시민 품으로 돌아온 뜻깊은 자리였다. 1세기 동안 시민들이 접근할 수 없는 '금단의 땅'으로서 대구 남부권 발전에 걸림돌이던 캠프워커 부지를 돌려받게 됨으로써 대구의 지역 균형발전도 획기적 전기를 맞게 됐다.
캠프워커는 한미 동맹과 국가 안보를 위해 큰 역할을 한 군사 요충 시설이었지만, 대구 남부권 균형발전을 심각하게 저해하고 소음 공해 시민 불편 등 부작용도 불러일으켰다. 대표적 피해 사례로 캠프워커에 가로막혀 수십 년째 완전 개통되지 못한 3차 순환도로를 꼽을 수 있다. 이 도로 25.2㎞의 마지막 단절 구간인 캠프워커 동측 활주로 부지를 이제 돌려받음에 따라 3차 순환도로의 완전 개통도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하지만 과제도 아직 많이 남아 있다. 먼저, 캠프워커 서측 도로와 47보급소 부지까지 완전히 돌려받아야 3차 순환도로 완전 개통을 마무리 지을 수 있다. 이곳에 대해서는 대구시가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국방부와 반환을 추진 중인데 이달 안에 반드시 합의각서를 체결해야만 2023년 3차 순환도로의 차질 없는 개통을 기약할 수 있다. 캠프워커 동편 활주로 부지에 들어설 예정인 대구 대표도서관과 평화의공원, 공영주차장에 대한 기대감도 크다.
일단은 캠프워커 반환 부지의 토양 및 지하수 오염 정화가 급선무다. 일급 발암물질인 비소와 고엽제 성분인 다이옥신을 말끔히 정화해야만 이 땅을 시민 품에 제대로 안길 수 있다. 지역사회는 캠프워커 부지 반환을 대구 남부 지역 발전의 기폭제 및 초석으로 잘 활용해야 한다. 군사기지가 도심을 가로막으면서 생겨난 불균형과 단절을 하루빨리 해소해 대구 신성장 거점으로 삼아야 한다. 아울러 시민들로부터 사랑받는 문화 및 휴식 공간으로도 캠프워커 반환 부지가 탈태환골하기를 기대한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