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문경 국가지질공원으로" 道, 후보 신청서 제출

문경시 신청서 검토 결과 인증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경북 지질공원운영위 자문·심의 거쳐 지난 14일 신청서 제출

문경 지질 명소 현황. 경북도 제공
문경 지질 명소 현황. 경북도 제공

경상북도가 문경의 지질 명소를 묶어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하는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경북도는 지난 14일 문경 국가지질공원 인증후보지 신청서를 환경부에 제출했다.

앞서 문경시는 지난해 10월 국가지질공원 인증후보지 신청서(안)를 경북도에 제출했고 도는 환경부로부터 인증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을 받았다. 이에 지난해 12월 경북 지질공원운영위원회 자문과 심의를 거쳐 환경부에 신청서를 제출한 것이다.

도는 문경 지역이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되기에 충분한 자원을 갖췄다고 본다.

문경은 국내 최초 무연탄 생산지이자 과거 한반도 백두대간 옛길의 이야기를 품은 곳이다. 돌리네습지, 석탄박물관, 베바위 등 지질 명소 11곳이 있다. 문경의 인증 후보지는 행정 구역 전체를 대상으로 하며 면적으로는 911.95㎢이다.

향후 절차 완료에는 2~3년이 걸릴 전망이다. 후보지 지정과 최종 인증을 위해서는 환경부 서류 심사, 두 차례 현장 평가, 최소 2번의 지질공원위원회 심의가 필요하다.

현재 제주도, 울릉도·독도, 부산, 청송, 전북 서해안, 경북 동해안 등 전국 13곳이 국가지질공원 인증을 받았다.

국가지질공원에 인증되면 향후 세계지질공원(유네스코 인증) 신청 자격을 얻는다. 국내 세계지질공원은 제주도, 청송, 무등산권, 한탄강까지 4곳이다.

경북도는 지질공원이 지역 브랜드 가치를 상승시켜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며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추구해 주민 간 자발적인 보전을 유도할 계획이다.

기존에는 자연 보전에 최우선을 둬 법적 규제를 하는 측면이 강했지만 보전과 활용의 선순환을 추구한다는 것.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지질공원 해설사를 선발·운영하고 주민에게 환경보전 활동 참여 기회를 제공하는 등 방식이다.

최영숙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올해 내 문경 국가지질공원의 인증 후보지 지정을 완료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장기적으로 유네스코 인증으로 지역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