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정부 업무평가에서 법무부와 통일부가 최하위 등급을 받은 반면 보건복지부 등 코로나19 대응 부처들은 좋은 평가를 받았다. 45개 중앙행정기관 대상 '2021년도 정부 업무평가' 결과 법무부·통일부·방송통신위원회 등 8곳이 평가 최하점인 C등급을 받았다. 법무부는 4년 연속, 통일부는 3년 연속 꼴찌 등급을 기록했다.
최하위 등급을 받은 기관들 중 상당수 기관장들이 임명 당시부터 코드 인사 논란을 일으켰고, 문재인 대통령이 여야 합의를 무시한 채 임명을 강행한 인사들이란 공통점을 갖고 있다. 정치인 출신인 박범계 법무부 장관, 이인영 통일부 장관 경우 더불어민주당이 인사청문 심사 경과 보고서를 단독 처리한 후 문 대통령이 임명을 강행했다. 한상혁 방통위원장 역시 보고서가 채택되지 못했음에도 문 대통령이 임명을 강행한 경우다.
문 대통령은 "청문회에서 고생한 사람이 일을 더 잘한다"는 말도 안 되는 주장을 했었다. 정부 업무평가 결과를 보면 대통령 말이 거짓말임이 드러난다. 법무부 경우 문 대통령이 검찰 개혁을 외치며 조국, 추미애, 박범계 등 3명에 대한 인사를 강행했지만 검찰 개혁은 실패하고 업무평가에서도 4년 연속 꼴찌를 기록했다. 통일부 역시 비핵화 대화가 교착 상태에 빠진 상황에서 남북 대화에도 큰 진전을 보지 못한 탓에 최하위 등급을 받았다.
정부 업무평가는 부처 업무의 전문성을 도외시한 채 이뤄진 '코드 인사'가 실패할 수밖에 없다는 당연한 사실을 일깨워 주고 있다. "야당이 반대한다고 인사 검증 실패라고 생각 안 한다" "인사청문회는 능력 부분은 제쳐 두고 흠결만 따지는 무안 주기"라며 코드·오기·불통 인사를 밀어붙인 문 대통령 책임이 크다.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거뒀으면 대통령 책임이 그나마 줄겠지만 해당 인사들이 업무에서 저조한 성적표를 받아 문 대통령이 낯을 들기 어려울 지경이다. 중앙행정기관은 물론 공공기관까지 포함하면 문 대통령의 인사 실패 사례는 부지기수일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