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와 경북여성정책개발원이 우리 음식과 전통 길쌈의 명맥을 이어가는 경북여성의 열정을 기록한 책 '경북의 맛을 지켜온 여성', '두산손명주, 전통을 짜는 사람들' 2권을 발행했다.
'경북의 맛을 지켜온 여성' 책은 경북여성 구술생애사 채록사업 시리즈의 아홉 번째 책이다. 이 책에서는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수산물을 활용해 향토음식, 전통음식을 계승‧보급‧발전시키고 있는 5명의 각기 다른 삶의 여정과 우리 음식에 대한 애정을 소개하고 있다.
지역특화 식품 레시피 개발과 음식 전수교육 등을 추진한 구미시 우리음식연구회 권동님 4대 회장, 국내 유일한 소두장 명인(대한민국 식품명인 제51호)으로 4대째 내려오는 전통 손맛을 살려 전통장류를 생산하고 있는 안동제비원의 최명희 대표의 삶을 다루고 있다.
농촌여성일감갖기 사업을 통해 매야전통식품 법인을 설립하고 쌀엿 명인(대한민국 식품명인 제83호)으로 활동하고 있는 최송자 대표도 포함됐다.
TV음식경연 프로그램(한식대첩4)에 출연해 경상북도의 음식을 알리는 데 기여한 향토음식 연구가이자 녹두황정 특허 보유자인 최정인 뜰안 대표, 상주시 '시의전서' 전통음식연구회를 만들어 고조리서의 전통음식을 재현하며 전통음식 확산과 보급에 매진하고 있는 노명희 회장도 함께 실었다.
이들은 친정 어머니, 시어머니, 집안 대대로 내려오던 음식에 대한 기억을 살려 혀끝, 손끝에 녹아든 전통의 맛을 찾았으며, 옛 음식에 대한 기록이 담긴 고문서를 찾아 의미를 고민하고 재현하기도 했다.
각종 대회 참여, 전수 교육, TV 출연 등을 통해 전통음식과 우리 식문화를 알리며 전통과 현대를 잇는 든든한 징검다리가 되어 주었다.

'두산손명주, 전통을 짜는 사람들' 책은 2018년부터 시작해 네 번째 추진한 풀뿌리 경북여성의 삶 이야기 사업의 결과물이다. 이 책에서는 국가무형문화재 제87호 '명주짜기' 보유단체인 경주 두산리손명주연구회원 4명의 이야기와 여성의 노동이 명주짜기 무형문화재로 피어나는 과정을 담았다.
손명주연구회의 최고령 회원 이수봉(92), 어머니의 베짜는 모습을 보고 운명처럼 베를 짜온 김분순(81), 철모르고 온 집안이 베를 짜서 물레에 앉아 시작한 베틀질이 50년된 김이화(74), 국가무형문화재 보유단체로 인정받고 전승의 명맥을 잇기까지 많은 노력을 한 김경자(61) 씨 등 4명의 삶이 녹아 있다.
하금숙 경북여성정책개발원 원장은 "2007년부터 구술생애사 채록사업을 시작해 지금까지 독립운동가 후손, 파독간호사, 문화예술인, 해녀와 어촌여성, 여성기업인 등 63명의 생애사를 채록했다"며 "2018년부터 풀뿌리 여성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는 산나물 캐는 할머니, 길쌈 전수자, 종부 등 16명의 삶의 기록을 수집‧조명했다. 앞으로 축적된 자료를 기반으로 경북여성 아카이브로 발전시키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