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한 주민센터는 지난 2019년 청사가 새로 지어질 때 '전동휠체어 급속충전기'를 설치했다. 하지만 해당 주민센터 관계자들은 "1년 이용 횟수는 10번도 안 된다. 휠체어를 탄 민원인의 방문 자체가 거의 없다"고 말했다.
중구에 있는 한 문화관은 급속충전기 이용률이 낮은 탓에 1층 출입구에 설치된 충전기 플러그를 아예 빼놓고 있었다. 시설관리자는 "지난 4월부터 근무했지만 이 충전기를 사용하는 시민은 단 한 명뿐이었다"고 했다.
대구 시내 주요시설 곳곳에 설치된 전동휠체어 급속충전기가 관공서의 무관심 속에 외면받고 있다. 많은 시민들이 충전기가 설치된 위치조차 잘 몰라 안내표지판 등 이용률을 끌어올릴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7일 대구시에 따르면 올해 1월 기준 전동휠체어, 전동스쿠터 등 교통약자의 이동수단인 전동 보장구 급속충전기는 공공기관, 병원, 복지관, 지하철, 공원 등에 모두 225개 설치됐다. 대구시는 올해 약 1억원의 예산을 들여 50곳에 충전기를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다.
문제는 급속충전기 위치가 잘 알려지지 않아 사용하는 인원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대구시는 시청 홈페이지를 통해 충전기 위치를 게시하고 있지만 대부분 구석에 자리 잡고 있었다. 위치를 표시한 안내판도 찾기 어려웠다.
경북대학교병원 앞에서 만난 전동 보장구 이용자 신모(57) 씨는 "어머니가 아프셔서 지난달부터 계속 병원을 오갔는데 급속충전기가 설치돼 있다는 사실을 어디에서도 본 적이 없다"며 "알았으면 사용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같은 날 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에서 만난 전동 보장구 이용자 송모(86) 씨 역시 "가끔 지하철을 이용하지만 그런 게 있는 줄 전혀 몰랐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전동 보장구 급속충전기의 이용률을 지금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실제 이용자 수요에 맞는 장소에 설치하고 안내표지판을 부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다릿돌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이민호 팀장은 "실제 이용자들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실태 파악을 한 후에 설치 장소를 정해야 한다"며 "관련 통계가 없으니 이용자들이 자주 가지 않는 곳에 설치되는 경우가 생기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충전기가 설치된 장소에 안내판을 설치해 사람들이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포털 사이트 지도 앱에 충전기 설치 장소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대구시 관계자는 "올해 각 구‧군 이용자의 수요에 따라 적절한 장소에 충전기 를 설치하려고 한다"며 "추가 설치가 끝나면 시청 홈페이지나 언론을 통해 홍보를 계속 이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