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文대통령 "故노무현 비극 겪고도 대선서 분열·갈등 부추기는 정치권"

"극단적 증오·대립·분열 크게 우려…국민통합이 대통령 의무"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아시아·태평양지역 뉴스통신사 교류협력체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아시아·태평양지역 뉴스통신사 교류협력체 '아태뉴스통신사기구'(OANA)의 의장사인 연합뉴스 및 세계 7대 통신사와 서면인터뷰를 한 후 사진 촬영에 임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이례적으로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을 언급하며 "과거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재임 중 탄핵 후폭풍과 퇴임 후의 비극적인 일을 겪고서도 우리 정치문화는 근본적으로 달라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임기 종료를 3개월 앞두고 연합뉴스 등 세계 7대 통신사와 합동으로 진행한 서면 인터뷰에서 '취임사에서 강조한 국민통합이 재임 기간 얼마나 실현됐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통합의 정치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에 공감한다"며 이같이 답했다.

문 대통령의 이번 발언은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후보가 언론 인터뷰에서 '적폐청산 수사' 관련 발언을 하기 이전에 나왔다.

특히 문 대통령은 "지금 선거국면에서도 극단적으로 증오하고 대립하며 분열하는 양상이 크게 우려된다"며 "아무리 선거 시기라 하더라도 정치권에서 분열과 갈등을 부추겨서는 통합의 정치로 갈 수 없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극단주의와 포퓰리즘, 가짜뉴스 등이 진영 간의 적대를 증폭시키고 심지어 지지자들 사이에서도 적대와 증오를 키우고 있다"며 "(이런 상황은) 누구에게도 이롭지 않고 사회 전체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을 포함한 정치권이 앞장서서 갈등을 치유하며 국민을 통합시켜 나가야 할 의무가 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또 탕평책이 실현될 수 없었던 현실에 대해 "야권의 유력 인사들에게 당적을 유지한 채 내각에 참여하는 방안을 제안하기도 했다"면서 "개인적으로는 취지에 공감을 표하면서도 끝내 모두 고사했다. 진영으로 나뉘는 정치문화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라고 돌아봤다.

문 대통령은 여야정 국정상설협의체에 대해서도 "여야와 정부가 국정을 상시적으로 논의하는 기구를 만든 것은 헌정 사상 최초의 일이었지만, 그러나 안타깝게도 그것으로 끝이었다"며 "손바닥도 마주쳐야 소리가 나는 법인데, 정치적 이해득실 때문에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했다"고 했다.

여야정 국정상설협의체는 문 대통령과 여야 5당 원내대표가 임기 초반부인 2018년 8월 청와대 오찬 회동에서 합의한 기구지만, 같은 해 11월 5일 열린 첫 회의를 끝으로 유명무실화됐다는 비판을 받았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