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진자가 연일 최다를 기록하면서 이번 주 방역 당국의 대응이 고비를 맞을 전망이다.
이달 말과 내달 초 사이 오미크론 변이의 유행이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집중관리 재택치료자 증가와 중증병상 가동률 상승 등 의료체계 준비가 관건으로 떠올랐다.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와 맞물려 확산세가 이어진다면 새 학기 등교도 차질을 빚을 우려가 있다.
20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전국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0만4천829명으로 지난 18일 이후 사흘째 10만 명대를 이어갔다. 이날 대구에선 4천707명이 신규 확진돼 지난 18일(4천538명) 역대 최다 기록을 또다시 갈아치웠다. 대구는 지난 16일 이후 닷새째 4천 명대를 보였다.
이 같은 확산세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적용되는 이번 주에 고비를 맞을 전망이다. 정부와 전문가들은 이달 말과 내달 초 사이를 오미크론 변이 유행의 정점으로 내다봤다. 지난주 확진자가 2배 늘어나는 '더블링'이 발생했듯, 이번 주도 확산 급증이 점쳐지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내달 초 전국 하루 확진자가 20만 명을 넘을 것으로 봤고, 국가수리과학연구소는 최대 36만 명까지도 예측했다.
이에 대응할 의료체계가 관건이다. 대구 재택치료 환자는 지난 19일 2만253명으로 처음 2만 명을 웃돌았다. 20일에는 2만1천903명을 기록했고, 이중 집중관리군은 3천383명까지 증가했다. 60세 이상이거나 50대 이상 기저질환자인 집중관리군은 지난 15일(2천275명) 이후 닷새 만에 1천 명이 늘었다. 대구의 중증환자 전담 치료병상 가동률도 56.7%까지 상승했다.
무엇보다 열흘 앞둔 새 학기 전면 등교 수업에 차질도 예상된다. 이날 대구 확진자 중 10대 이하는 27.7%에 달했다. 개학 직후 오미크론 유행 더 거셀 수도 있는 상황인 것. 특히 대부분 백신 접종 대상이 아닌 초등학생이 위험하다. 지난 18일 집계 기준으로 대구의 자가격리 확진 학생(유치원·초·중·고교)은 모두 2천626명이고, 이중 초등학생이 57.1%(1천513명)를 차지했다.
정부는 코로나19 위중증 환자 병상을 2천651개까지 확보해 중환자 증가에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대구시도 향후 위중증 환자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추가 병상 확보에 나섰다. 이날 전국 위증증 환자는 439명으로 전날보다 31명 늘었다.
대구시 관계자는 "치명률은 낮지만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절대적인 수치의 위중증 환자가 늘어나기에 병상을 확보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다"며 "고위험 시설인 요양시설·병원에서도 확진가 계속 발생해 사전에 전파를 차단하고자 병원시설 등에 대한 주기적 선제검사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재택치료 일반관리군 환자를 상담·처방하는 대구의 동네 병·의원은 재택치료 체계 개편을 시작한 지난 10일 105곳에서 18일 317곳으로 확대됐다. 또 같은 기간 신속항원검사가 가능한 호흡기 진료 지정의료기관은 125곳에서 290곳으로 늘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