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安-尹, '데이터 경제' 놓고 설전…"문제의식 부족" VS "플랫폼기업 끌어내야"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왼쪽)와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 후보가 21일 오후 서울 마포구 MBC 미디어센터 공개홀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0대 대통령선거 후보 초청 1차 토론회에서 토론을 준비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왼쪽)와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 후보가 21일 오후 서울 마포구 MBC 미디어센터 공개홀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0대 대통령선거 후보 초청 1차 토론회에서 토론을 준비하고 있다. 연합뉴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21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주관 첫 TV토론에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의 '디지털 데이터 경제' 공약을 자세히 설명해 보라며 신경전을 이어갔다.

안 후보가 "디지털 데이터 경제라고 말했는데, 핵심이 무엇이냐"고 묻자 윤 후보는 "5G라거나 데이터들이 신속하게 움직이고 이동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축과, 이것들이 전부 클라우드에 모여 분석할 수 있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안 후보가 "그건 하드웨어 쪽이지 데이터 인프라는 아니다"라고 지적하자 윤 후보는 "운용을 위해서는 상당한 정도의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고 반박했다.

안 후보는 "한 가지만 더 묻겠다. 정부 데이터 개방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질문했다. 윤 후보는 "정부 데이터는 공유할 수도 있는 것도 있고 보안사항도 있는 것 아니냐"고 답했다.

그러자 안 후보는 미소를 지으며 고개를 절레절레 흔드는 모습을 보였다.

안 후보는 "국가 데이터 공개는 데이터산업, 인공지능의 근본이다. 정부에서 이런 것들을 전혀 공개하지 않다 보니 우리나라가 갈수록 뒤처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차기 정부의 중요한 국정운영 목표 중 하나가 공공 데이터 공개라고 믿기에 여쭤본 것"이라며 "그런 부분에 대해 (윤 후보가) 확실한 문제의식을 안 가진 것 같아서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윤 후보는 "안 후보가 생각하는 그런 첨단 디지털 기술만 가지고 우리가 경제 부흥을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걸 어떻게 활용해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플랫폼 기업을 끌어내는지가 문제"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디지털 플랫폼을 구성하면 민간 관계자들이 들어오면서 절로 공공 데이터가 돌게 돼 있고, 특별히 보안을 요하는 것을 제외하면 정부가 국가 전체의 데이터 플랫폼에서 중심 역할을 할 것"이라고 했다.

윤 후보의 답변을 듣던 안 후보는 다시 한번 답답하다는 듯 오른손을 들어 올리며 미소를 지어 보였다.

안 후보는 "빅데이터 기업과 플랫폼 기업은 완전히 다른데 윤 후보가 두 개를 구분 못하는 것 같다. 두 기업의 경쟁력 제고 전략 등도 전혀 다르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측은 "빅데이터 기업과 플랫폼 기업은 다르다는 안 후보의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며 "자체 수집한 데이터를 보유한 플랫폼 기업들이 가장 중요한 빅데이터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외를 막론하고 가장 중요한 빅데이터 기업은 플랫폼 기업이기도 하다"며 구글, 아마존, 애플을 예시로 들었다.

또 '공공데이터 개방은 못 하고 있다'는 안 후보 주장에 대해서도 "공공데이터 개방은 공공데이터법에 따라 현재 990개 기관이 5만1천114건의 데이터셋을 제공 중"이라며 " 다만 그 제공이 부진하기 때문에 윤후보는 디지털플랫폼정부를 통해 이를 활성화하자고 주장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