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현재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의 대유행이 풍토병(엔데믹)으로 가는 초기 단계라고 밝혔다. 낮은 치명률로 관리할 수 있다면 유행의 정점을 지나서 일상회복을 추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이하 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22일 온라인 정례 브리핑에서 "아직 갈 길이 멀지만, 출구를 찾는 초입에 들어섰다"며 "계속 낮은 치명률을 유지하고 유행을 안정적으로 관리한다면 최종적으로는 오미크론 대응도 다른 감염병과 같은 관리체계로 갈 수 있다"고 밝혔다.
박 반장은 "오미크론 유행은 단기적으로는 위기이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일상을 회복하기 위해 한 번은 거쳐야 할 필연적인 과정이다"며 "중증과 사망을 최소화하고 의료체계를 보존하면서 유행을 잘 넘긴다면 일상으로 되돌아갈 기회가 될 것"이라고 했다.
이 같은 판단의 근거는 확진자가 늘어나는 가운데 중증화율은 감소한다는 점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가 지난해 12월 이후 델타·오미크론 변이 감염이 확정된 6만7천207명을 대상으로 중증도를 비교한 결과, 오미크론의 중증화율과 치명률은 각각 0.38%, 0.18%이었다. 델타 변이의 중증화율(1.40%)과 치명률(0.70%)에 비해 4분의 1 수준이다.
무엇보다 확진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60대 이하 젊은 연령층에서 오미크론 중증화율은 연령군에 따라 0.03~0.08%, 치명률은 0~0.03%로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회복 시점과 내용을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손영래 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오미크론 유행이 정점을 찍고 감소세로 전환되는지와 위중증·사망자 추이, 의료체계 여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일상회복 구상에 들어가야 할 사항"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11월의 일상회복 계획은 델타 변이의 위중증률·치명률과 유행 상황 등을 고려한 것이기 때문에 오미크론 변이 특성에 맞게 개편할 필요는 있다"며 일상회복에 대한 가능성도 내비쳤다.
정부는 오미크론 유행이 정점을 찍고 안전화 단계에 접어들서면 일상회복 이전이라도 사회적 거리두기와 방역패스 등의 방역 조치를 완화할 방침이다.
손영래 사회전략반장은 "오미크론 유행이 안정화한다면 현재의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조정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아울러 방역패스의 축소나 조정도 포함할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