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민의힘 ‘대장동 문건 보따리’ 공개…여야, 이재명·윤석열 책임론 공방

원희룡 “李 결재 ‘분리 개발’로 특혜”에 민주 “도이치모터스 수사 미적” 맞불

국민의힘 원희룡 정책본부장이 25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대장동 관련 긴급 기자회견에서 입수한 자료를 들어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원희룡 정책본부장이 25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대장동 관련 긴급 기자회견에서 입수한 자료를 들어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여야는 25일 '대장동 의혹'을 놓고 이재명·윤석열 대선 후보의 책임론을 펴며 정면충돌했다. 국민의힘 선대본부 원희룡 정책본부장은 이날 안양∼성남 제2경인고속도로 분당 출구 인근의 배수구에 버려졌던 '대장동 문건 보따리'를 입수했다며 선공을 폈다. 원 본부장은 '대장동 관련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해당 보따리가 대장동 개발 당시 성남도시개발공사 전략사업팀장이던 정민용 변호사 소유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보따리에는 검은색 천 가방 속에 문건 수십 건이 들어있었으며 일부는 물에 젖거나 훼손돼 있었지만, ▷정 변호사의 명함과 원천징수영수증 ▷자필 메모 ▷2014∼2018년 대장동 개발사업 관련 보고서 ▷결재문서 등이 발견됐다는 게 원 본부장의 설명이다.

원 본부장은 먼저 2016년 1월 12일자 '대장동-공단 분리 개발' 현안 보고서를 공개했다. 그는 "정 변호사가 이재명 당시 성남시장을 독대해 결재 받았다는 보고서"라며 "1공단 관련 소송 때문에 '결합 개발'이 어려워 '분리 개발'을 해야 한다는 게 핵심 내용"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결합개발이 분리개발로 바뀌면서 실제 대장동 일당에게는 약 2천700가구의 용적률 특혜를 준 것"이라고 덧붙였다.

원 본부장은 또 보따리에는 성남도시공사가 A9·A10 블록에 임대아파트 1천200가구를 지을 수 있는 안과 임대주택 용지를 사지 않고 현금(1천822억 원)으로 받는 안 등이 나와 있다고 했다. 원 본부장은 "결국 이재명 당시 성남시장은 임대아파트 사업을 포기하고 시장 마음대로 쓸 수 있는 현금을 받기로 결정했다"며 "이후 이 돈을 '시민배당'이라는 이름으로 1인당 10만 원씩 뿌리려고 했다"고 주장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강하게 반박했다. 선대위 박찬대 수석대변인은 "엉터리 폭로쇼"라며 "원 본부장의 기자회견은 대장동 문건을 확보했다고 주장하는 것 외에는 아무런 새로운 내용도 없다"고 깎아 내렸다. 그러면서 "이미 다 공개되어 사실이 아닌 것으로 입증된 내용들 뿐"이라며 "1공단 민간사업자의 소송으로 결합 개발이 불가능했기에 1공단을 분리하면서 결합 개발과 같은 이익환수가 가능하도록 설계했다는 것이 원 본부장의 자료공개로 잘 설명됐다"고 꼬집었다. 박완주 정책위의장도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국민 '희룡' 정치공작 1타강사 놀이 STOP! 거짓은 참을 가릴 수 없다"고 비판했다.

박광온 국회 법제사법위원장과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간사가 2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법제사법위원회 현안질의를 앞두고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광온 국회 법제사법위원장과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간사가 2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법제사법위원회 현안질의를 앞두고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장동 의혹'은 이날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도 쟁점이 됐다. 국민의힘은 대장동 개발사업 설계자가 이 후보임을 부각하는 데 주력했다. 권성동 의원은 "성남시장 시절 설계, 계획, 집행을 했고 1조 수천억원의 이익이 분배가 됐다. 이 모든 일에 관여했다"고 이 후보를 겨눴다. 유상범 의원은 "정민용 씨는 중요 증거 자료를 고속도로변에 버리고 이런 증거 인멸까지 드러난 상황"이라며 검찰의 적극적인 수사를 촉구했다.

민주당은 윤 후보의 부인 김건희 씨의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의혹에 화살을 돌렸다. 김용민 의원은 "윤 후보가 검사 시절 봐주기 수사를 지나치게 많이 한 것 같다"며 "주가 조작 사건은 왜 김 씨를 소환조차 안 하고 있는 것이냐"고 따져 물었다. 박성준 의원은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사건은 명확한 팩트가 있는 것"이라며 "팩트가 정확한데 왜 이렇게 (수사가) 안 되느냐, 검찰이 선거에 개입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비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