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트럼프, 푸틴 이어 김정은 칭찬 "엄청나게 터프하다"

"내가 대통령이었다면 푸틴 저러지 않았을 것" 주장도

도날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사진 트위터 hodgetwins 캡처
도날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사진 트위터 hodgetwins 캡처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도발 행위를 칭찬한 데 이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까지 추켜세웠다.

6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전날 뉴올리언스에서 열린 공화당 고액 기부자 회합에서 김 위원장을 언급, "엄청나게 터프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북한의 장성과 관료들이 김 위원장에게 굽신거리는 상황을 묘사하며, 김 위원장이 나라를 완전히 장악했다고 평했다고 WP는 전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그의 부하들은 차렷 자세로 앉아 있었다"며 "내가 측근들을 보면서, 나도 내 주변에서 저렇게 행동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고 말해 좌중의 웃음을 산 것으로 보도됐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임 시절 2018년 6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첫 북미 정상회담을 시작으로 2019년 2월 베트남 하노이와 같은 해 6월 판문점에서 두 차례 더 김 위원장을 만났다.

첫 회담에선 북미 비핵화 협상의 물꼬를 트며 한반도 평화에 새 전기를 마련할지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대북 경제제재 해제를 둘러싼 이견 등으로 베트남 회담 결렬 이후 남북미 대화는 교착 상태를 이어가고 있다.

다만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후에도 퇴임 직전까지 김 전 위원장과 친서를 주고받는 등 관계를 유지해왔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 친서를 주고받은 사실을 공개하는 등 북한과의 관계를 자신의 치적으로 꾸준히 내세워왔다.

또 그는 퇴임 후 이 편지를 포함한 일부 문서를 사저인 플로리다의 마러라고 리조트로 반출했다 회수 조치됐고, 하원 의회 난입 조사특위가 당시 백악관 기록물을 제출받는 과정에서 이 같은 사실이 밝혀지며 법 위반 논란에 휘말리기도 했다.

한편 푸틴 대통령을 '천재'로 칭찬했다가 뭇매를 맞은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날은 "내가 대통령이었다면 푸틴이 저러지 않았을 것"이라며 비슷한 입장을 견지했다.

또 이번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농담 소재로 삼아 또다른 논란에 휩싸였다.

그는 행사에서 "미국은 F-22 전투기에 중국 국기를 붙여 러시아를 폭격해야 한다"며 "그리고 나서 우리가 하지 않았다, 중국이 했다고 말하면 그들이 서로 싸우기 시작할 것이고 우리는 뒷짐 지고 구경만 하면 된다"고 발언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