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초년생인 청년들은 '법과 원칙'이 바로 잡힌 세상을 차기 정부에 요청했다.
이민욱(35·대구경북청년회 대표) 씨는 "법과 원칙이 보장되는 대한민국이 되면 좋겠다. 조국 사태 등을 거치면서 이번 정부가 외치던 '정의'가 완전히 무너졌다. 또 정부의 오락가락 코로나19 방역정책을 지켜보며 정부의 정책이 명확한 기준에 의해서 움직인다기보다는 여론 조성에 의해 좌지우지된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다"며 "결국 다수의 자영업자가 폐업하는 등 피해는 오롯이 시민에게 왔다. 차기 정부는 법과 원칙에 입각해 개인의 자유를 억업하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자녀를 둔 부모 세대의 시민들은 집값 완화와 보육 및 출산 장려에 대한 인식 개선이 시급하다고 토로했다.
올 하반기 딸 결혼을 앞둔 주부 이미애(59) 씨는 "부모로서 집을 마련해주고 싶은데 집값이 워낙 비싸니 부담이 크다. 자녀가 모아둔 돈이 없으면 결국 대출을 해야 하는데 남편 혼자 돈을 버는 상태에서 대출에 막막함을 느낀다. 딸이 곧 결혼을 하는데 아직 집을 구하지 못했다"며 "대통령 후보 모두 폭등하는 집값 잡기를 공약으로 내세우는데 말뿐으로 그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퇴직을 앞둔 직장인 유수현(61) 씨는 "회사에서 젊은 직원의 출산 장려 및 아이 돌봄을 위해 조기 퇴근이나 당직 근무 제외를 시켜주고 있지만 막상 젊은 직원은 눈치를 본다고 제도를 잘 사용하지 못하는 입장이다"며 "수년 전부터 저출산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하지만 정작 제도 도입 외 바뀐 게 없다. 앞으로 후배들이 직장 눈치를 보지 않고 편안하게 아이를 키울 수 있는 출산 및 보육 문화가 정착되는 대한민국이 됐으면 좋겠다"고 했다.
장애인들도 인격 존중에 대해 목소리를 높였다.
서준호(44·대구장애인인권연대 대표) 씨는 "대선 시기만 되면 후보들은 모두 '존경하는 국민'이라고 한다. 과연 모든 국민을 존경하는지 의구심이 든다"며 "여전히 최저임금을 받지 못하고 일을 하는 장애인이 대다수고 장애인 고용 의무가 있는 기업은 장애인을 고용하지 않는 등 존경받지 못하는 삶을 살고 있다. 장애인 일자리 창출 등 비슷한 제도 남발 대신 질 높은 일자리에서 안정적으로 일을 하며 생활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