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의 용산 이전 문제가 '윤석열 국정'의 첫 시험대에 올랐다. 청와대의 광화문 이전을 공약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은 '광화문 집무실'이 경호 등 현실적인 문제로 어려워지자 용산 국방부 청사로 급선회했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이 강하게 비판하면서 정치쟁점화 될 태세고,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찬반 논란이 확산되자 일단 숨 고르기에 들어간 양상이다. 용산으로 옮기는 것을 일방적으로 밀어붙일 경우, 역풍을 우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윤 당선인은 전날 저녁 인수위원들과 회의를 열어 청와대 이전 부지 후보지로 외교부가 입주해 있는 광화문 정부서울청사 별관, 그리고 용산의 국방부 청사 두 곳으로 압축했다. 정부서울청사 본관은 배제됐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18일 브리핑에서 "국민과 함께 할 수 있는 접근성, 국민께 불편을 끼치지 않으면서 편의를 최대한 보호해드릴 수 있는 부분, 대통령 경호와 보안, 무엇보다 국민과 소통하고 비서관들과 격의 없이 일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는 두 군데가 더 나았다는 결론"이라고 설명했다.
애초 주말쯤 용산으로 확정될 것으로 전망됐지만, 인수위원들은 18일 오후 현장을 답사한 뒤 두 곳의 장단점을 분석했다. 김 대변인은 향후 일정에 대해 "윤 당선인의 가장 중요한 공약이었기 때문에 중요한 만큼 컨센서스가 필요하다"며 "답사해보고 여러 의견을 모아 토론하고 논의하는 과정을 거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청와대 이전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김 대변인은 "국민 여러분께서 일상을 회복하는 날에 청와대의 그 아름다운 산책길을 거닐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봄꽃이 지기 전에는 국민 여러분께 청와대를 돌려드리겠다"고 언급, 이전 추진을 재확인했다.
윤 당선인 측 내부의 기류는 용산에 무게를 두는 분위기다. 전날 윤 당선인과 오찬을 함께 한 박주선 전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에 출연, "전문가들이 용산이 더 바람직하다고 의견을 제시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두 곳은 장단점이 뚜렷하다. 용산은 상대적으로 경호·보안이 용이하지만 군 시설 이전 비용과 용산공원이 완성될 때까지 시민과 단절된다는 게 문제다. 국민 소통 취지에 부합하는 외교부 청사는 보안에 취약하고 경호에 따른 '재밍'(전파 방해), 교통 불편, 시위 제한 등이 걸림돌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일방적 추진은 부담이 아닐 수 없다는 게 당선인 측 우려다. 또 당선인 신분으로 청와대 이전에 다걸기 하면서 코로나19 대응 등 민생을 외면한다는 비판을 모른 체 하기 어렵다. 야당의 반발을 최소화하고, 반대 여론을 아우르는 게 선결 과제라는 의미다. 한때 우군이던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대위원장도 반대론을 피력하며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제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이 때문에 최종 결정을 잠시 미루고, 두 후보 지역의 장단점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함께 국민 여론까지 반영해 총의를 모으는 과정을 밟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청와대 이전 TF는 청와대에 한번 들어가면 못 나온다는 기류 속에 속도전의 중요성에 방점을 두고 있어 어떤 식으로 컨센서스를 모아갈지 주목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