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윤석열 국정’ 첫 시험대 청와대 용산 이전…尹 어디로 출근할까

野 반발·찬반 논란 속 일단 숨고르기…단점 보완·여론 반영 ‘컨센서스’ 모아갈 듯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통의동 당선인 집무실에서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과 면담하며 악수하고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통의동 당선인 집무실에서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과 면담하며 악수하고있다. 연합뉴스

청와대의 용산 이전 문제가 '윤석열 국정'의 첫 시험대에 올랐다. 청와대의 광화문 이전을 공약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은 '광화문 집무실'이 경호 등 현실적인 문제로 어려워지자 용산 국방부 청사로 급선회했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이 강하게 비판하면서 정치쟁점화 될 태세고,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찬반 논란이 확산되자 일단 숨 고르기에 들어간 양상이다. 용산으로 옮기는 것을 일방적으로 밀어붙일 경우, 역풍을 우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윤 당선인은 전날 저녁 인수위원들과 회의를 열어 청와대 이전 부지 후보지로 외교부가 입주해 있는 광화문 정부서울청사 별관, 그리고 용산의 국방부 청사 두 곳으로 압축했다. 정부서울청사 본관은 배제됐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18일 브리핑에서 "국민과 함께 할 수 있는 접근성, 국민께 불편을 끼치지 않으면서 편의를 최대한 보호해드릴 수 있는 부분, 대통령 경호와 보안, 무엇보다 국민과 소통하고 비서관들과 격의 없이 일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는 두 군데가 더 나았다는 결론"이라고 설명했다.

애초 주말쯤 용산으로 확정될 것으로 전망됐지만, 인수위원들은 18일 오후 현장을 답사한 뒤 두 곳의 장단점을 분석했다. 김 대변인은 향후 일정에 대해 "윤 당선인의 가장 중요한 공약이었기 때문에 중요한 만큼 컨센서스가 필요하다"며 "답사해보고 여러 의견을 모아 토론하고 논의하는 과정을 거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청와대 이전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김 대변인은 "국민 여러분께서 일상을 회복하는 날에 청와대의 그 아름다운 산책길을 거닐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봄꽃이 지기 전에는 국민 여러분께 청와대를 돌려드리겠다"고 언급, 이전 추진을 재확인했다.

윤 당선인 측 내부의 기류는 용산에 무게를 두는 분위기다. 전날 윤 당선인과 오찬을 함께 한 박주선 전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에 출연, "전문가들이 용산이 더 바람직하다고 의견을 제시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두 곳은 장단점이 뚜렷하다. 용산은 상대적으로 경호·보안이 용이하지만 군 시설 이전 비용과 용산공원이 완성될 때까지 시민과 단절된다는 게 문제다. 국민 소통 취지에 부합하는 외교부 청사는 보안에 취약하고 경호에 따른 '재밍'(전파 방해), 교통 불편, 시위 제한 등이 걸림돌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일방적 추진은 부담이 아닐 수 없다는 게 당선인 측 우려다. 또 당선인 신분으로 청와대 이전에 다걸기 하면서 코로나19 대응 등 민생을 외면한다는 비판을 모른 체 하기 어렵다. 야당의 반발을 최소화하고, 반대 여론을 아우르는 게 선결 과제라는 의미다. 한때 우군이던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대위원장도 반대론을 피력하며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제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이 때문에 최종 결정을 잠시 미루고, 두 후보 지역의 장단점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함께 국민 여론까지 반영해 총의를 모으는 과정을 밟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청와대 이전 TF는 청와대에 한번 들어가면 못 나온다는 기류 속에 속도전의 중요성에 방점을 두고 있어 어떤 식으로 컨센서스를 모아갈지 주목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