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재산은 지난해보다 1억1천406만원이 늘어난 21억9천98만인 것으로 집계됐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재산이 15억1천43만원으로 전년에 비해 3천273만원 줄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31일 0시 관보를 통해 공개한 고위공직자 재산신고 내역에 따르면 1년 사이 문 대통령이 경남 양산시 매곡동에 있는 옛 사저 대신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평산마을에 퇴임 후 지낼 사저를 새로 짓는 과정에서 채무가 전년에 비해 15억원 더 많이 신고됐다.
공개 내역 상 문 대통령의 금융기관 채무는 3억8천900만원이다. 부인 김정숙 여사는 사인 간 채무 11억원을 신고했다.
문 대통령의 토지, 건물 등 부동산 신고액은 지난해 발표 때 16억1천700만원에서 올해 발표 때 30억5천900만원으로 뛰었다. 이는 재산신고 기준일인 지난해 12월 31일 시점에 매곡동 구 사저가 매각되지 않아 신축 중인 지산리 평산마을 사저가 부동산 가액으로 편입됐기 때문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평산마을 사저 신축 비용이 14억9천600만원"이라며 "금융기관에서 최대한도인 3억8천900만원을 대출받고 나머지 필요한 11억원을 사인 간 채무로 충당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매곡동 옛 사저에 대한 매매계약이 체결됐고, 재산공개 자료에 나타난 채무는 현재 모두 갚았다"고 밝혔다.
김 총리의 주요 재산은 경기도 양평군 강하면의 임야 3필지(1억9천500만원)와 서울 마포구 공덕동 아파트 전세권(6억6천만원) 등이다. 김 총리와 배우자, 셋째 딸의 예금 총액은 종전 3억6천900만원에서 7억3천만원으로 3억5천만원가량 늘었는데, 김 총리는 이에 대해 "대구 아파트 매도와 양평 토지 매입의 차액과 예금 증가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구 출신 구윤철 국무조정실장은 지난해보다 1억4천200만원이 증가한 49억7천300만원이었다. 배우자 명의의 서울 강남구 개포동 아파트(18억원), 본인 명의의 서울 마포구 신공덕동 복합건물 전세권(11억5천만원)을 신고했다. 이 중 신공덕동 전세권은 종전에 8억5천만원이었던 전세보증금을 3억원(35%) 올려줬다.
역시 대구 출신인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약 5억8천만원이 늘어난 26억3천700만원이었고, 권칠승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3천여만원이 증가한 5억2천500만원을 신고했다.
그밖에 국무위원 중에는 정영애 여성가족부 장관이 지난 신고보다 4억8천700만원 늘어난 45억6천700만원으로, 가장 많은 재산을 보유하고 있었다. 전해철 행정안전부 장관(39억2천700만원),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27억1천400만원)이 그 뒤를 이었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의 재산은 1억6천474만원으로 국무위원 중 가장 적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5억1천700만원이었다.
한편, 청와대는 이번 재산공개에 맞춰 지난 5년 재임 기간 문 대통령의 총수입과 지출 규모를 공개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문 대통령의 임기 내 총수입은 19억8천200만원이다. 세금 3억3천500만원을 뺀 세후 총소득은 16억4천700만원"이라며 "이 가운데 13억4천500만원을 사용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재임 기간 재산 순증가액은 3억200만원"이라고 소개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