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1944년 6월 13일 프랑스. 연합군이 노르망디에 상륙하고 며칠이 지난 그날, 미 육군 제7군단을 지휘하던 조지프 로턴 콜린스 중장은 사단의 보고를 받기 위해 부대를 방문했다가 "대대 및 연대 본부들이 어디에 있는지 모른다"는 얘기를 들었다. 창설되자마자 투입된 제90보병사단이 문제였다. 사단장 제이 매컬비 준장은 적의 사격을 피할 수 있는 울타리 배수로에 웅크려 숨어 있었다. 지휘 체계를 잃은 90사단 한 보병 부대는 142명 중 32명만이 간신히 살아남았다. 265명이 배속된 이 사단 예하 대대 한 곳은 80여 명에 불과한 독일 정찰부대에 항복했다.
콜린스 장군은 즉각 매컬비를 해임했다. 연대장 3명 중 2명도 교체했다. 후임인 유진 랜드럼 사단장도 지휘관 역량이 부족하다고 판단해 얼마 지나지 않아 자리에서 내쫓았다.
제90보병사단이 제 기능을 한 건 레이먼드 매클레인 준장이 맡고 나서부터였다. 그는 능력만 있으면 중책을 맡겼다. 한 연대장은 27세, 그 밑의 대대장은 25세였다. 이후 90사단은 활약하며 전투에서 뛰어난 공적을 세웠다.
이 책은 '위대한 장군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란 부제가 암시하듯, 제2차 세계대전부터 한국전쟁, 베트남전, 이라크전,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이르기까지 70여 년 동안 미 육군을 이끌었던 장군들의 리더십을 살핀다. 퓰리처상을 2번이나 받은 기자 출신으로, 미국 신안보재단 고문인 군사전문가가 썼다.
이라크 전쟁에서 종군기자로 활동하기도 했던 지은이는 방대한 자료조사와 인터뷰 등을 통해 역사적 전장을 생생히 묘사하며 부하들 생사를 좌우했던 최고와 최악의 지휘관을 가차없이 선별한다. 주요 지휘관의 행보와 당대의 세평, 그리고 역사적 평가를 꼼꼼히 적었다.
이 가운데 돋보이는 인물은 미 육군의 초석을 다진 조지 마셜, 베트남전 패전 이후 군 개혁을 이끈 윌리엄 드퓨이와 존 쿠시먼, 최악의 여건에서 병법의 기본을 지켜 우리나라 장진호 전투에서 길이 빛날 투혼을 보인 올리버 스미스 해병 제1사단장 등이다.
반면 대한민국에서 '인천상륙작전의 영웅'으로 추앙받는 맥아더에 대한 지은이의 평가는 냉혹하다. 맥아더는 대통령이 되길 꿈꿨고 출세를 위해 자기를 뽐내는 데 더 집중했다. 능력보다는 자신의 인맥에 따라 인재를 기용했다. 그런 이유로 한국전쟁이 터지고 얼마 지나지 않은 1950년 7월 3일 윌리엄 딘 소장이 이끄는 사단이 즉각 투입됐지만, 북한군을 제대로 막을 수 없었다. 맥아더 역시 그해 9월 인천상륙작전을 성공시켰지만 금방 자만에 빠져 중공군이 개입하지 못할 것이라고 오판하고 말았다. 이 같은 난맥상은 결국 미 육군 전사에서 가장 쓰라린 전투 중 하나로 기록된 장진호 전투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지은이는 이 책에서 경영학자 피터 드러커의 글을 인용한다. "계속해서 탁월한 성과를 내지 못하는 사람, 특히 그런 관리자를 그 자리에서 무자비하게 해임하는 것이 최고경영자의 의무다. 그런 사람들이 자리를 지키게 놔두면 다른 사람들까지 망가진다. 그것은 조직 전체에 대단히 불공평한 일이다."
결국 지은이가 500페이지가 넘는 이 책을 통해 하고자 하는 얘기를 요약하자면 '무능함을 허용하는 순간, 무능한 조직을 갖게 된다'는 것. 우리 사회를 향해 던지는 강렬한 메시지다. 584쪽, 2만8천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