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부, 국무회의서 추경안 의결… 한덕수 총리 "여야간 협치 선례"

코로나 손실보상 등 총 62조 규모 추경안 의결

한덕수 국무총리가 3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임시 국무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가 3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임시 국무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는 30일 서울청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임시 국무회의를 열고 62조 원 규모의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 배정계획안 등을 심의·의결했다.

이는 전날 국회 본회의에서 추경안이 통과된 데 따른 정부의 후속 조치다.

한 총리는 회의에서 "이번 추경은 여야간 일종의 협치를 통한 하나의 합의를 통해 정해진 날짜에 통과시키는 좋은 선례를 만들었다"면서 "이런 일들이 자꾸 쌓임으로써 여야간 서로 신뢰도 쌓이고, 앞으로 더 중요하고 더 큰 국가적 어젠다를 여야가 합의해서 할 수 있지 않겠냐는 일종의 첫걸음이라고 생각한다. 매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 총리는 "(이번 추경은) 모든 사람에게 많이 드리는 것보다는 사회적 약자, 어려운 분들에게 두텁게 지원하자는 정책"이라며 "재정 사정이 아주 풍부해지고 여유가 있을 때까지는 이분들에 대한 정책을 더 강화하는 것이 첫 번째 원칙이다. 그런 목표를 향한 현 정부의 첫 구체적 경제 정책"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 국가 부채가 지금 1천조원을 넘어가는 상황"이라며 "이번 7조5천억원 국채 상환은 국채에 대한 안정적 관리를 새 정부가 하겠다는, 그러면서 중·장기적으로 재정 안정성을 좀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보이는 요소"라고 했다.

한 총리는 이번 추경을 마지막으로 재난지원금 지급은 종료하겠다면서 "앞으로는 온전하고, 투명하고 확실한 (손실) 보상 제도로 바뀐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얼마 전에 국제통화기금(IMF)이 우리나라 올해 성장률을 우크라이나 사태나 공급망의 차질 때문에 연초 3% 예상했던 것에서 2.5%로 내렸다"며 "이번 추경을 통해 0.2%포인트 정도 성장률을 더 올릴 수 있다는 예측을 한다"고 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2일 국무회의를 주재해 추경안을 국회로 넘겼다.

여야는 전날 밤 국회 본회의에서 정부가 제출한 59조4천억 원보다 2조6천억 원 증액한 역대 최대 규모 추경안을 합의 처리했다.

코로나19로 피해를 본 소상공인·자영업자는 이르면 이날 오후부터 최고 1천만 원의 손실보상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